온라인에서 논거제시 및 예절준수 메시지가 대학생의 이견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ong Argument and Civility in Online Messages o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Issues and Their Opponents
한국소통학보 |
17 |
2012 |
휴먼커뮤니케이션
토론 교육을 위한 논제 선정에 대한 소고(小考)-국내․외 토론 대회 논제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position Selection for Debate Education-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academic debate proposition analysis-
청람어문교육 |
41 |
2010 |
국어교육
토론 교육을 위한 논제 선정에 대한 소고(小考)-국내․외 토론 대회 논제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position Selection for Debate Education-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academic debate proposition analysis-
청람어문교육 |
|
41 |
2010 |
국어교육
프레임(Frame)을 활용한 교차토론 방법 연구
The Study of Corss-Examination Debate Using the Frame Theory
화법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토론 수업 방안-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토론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An Effective Way of Classroom Debat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sult from Debate Discourse Analysis-
국제어문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토론 수업 방안-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토론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An Effective Way of Classroom Debat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Result from Debate Discourse Analysis-
국제어문 |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양한 토론 방식을 적용한 <독서와 토론> 수업 모형의 토론 자기 효능감 연구
College Students' Debate Competence: A study focusing on the lesson model 'Reading and Debate' from various types of debates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다양한 토론 방식을 적용한 <독서와 토론> 수업 모형의 토론 자기 효능감 연구
College Students' Debate Competence: A study focusing on the lesson model 'Reading and Debate' from various types of debates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토론 대회 경험과 토론 효능감에 대한 연구-고등학교 토론 대회 소감문 분석을 중심으로-
Experiencing ‘Academic Debate League’ and Its Impact on Debate Efficacy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Debate Description Analysis-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토론 대회 경험과 토론 효능감에 대한 연구-고등학교 토론 대회 소감문 분석을 중심으로-
Experiencing ‘Academic Debate League’ and Its Impact on Debate Efficacy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Debate Description Analysis-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 토론 교육의 비판적 검토 및 개선 방안* -교양교육으로서 토론을 대상으로-
Critical Review and Improvement Plan of Debate Educationin University -Targeting Debate Education as Liberal Education-
화법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토론 단원 교수ㆍ학습의 비판적 분석
A Critical Analysis of the debate unit in the 10th grade textbook
교사교육연구 |
51 |
2 |
2012 |
교사교육
교육적 기능을 고려한 토론 유형 선택의 변수
The Variables in Selecting the Type of Debate with the Consideration of its Educational Function
화법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토론 대회에 대한 사례 연구
화법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내․외 토론 대회 현황 분석을 통한토론 교육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bate Education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Debating Championships
화법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반복적 학습 경험을 중시한 대학 말하기 교육- 토론 교육을 중심으로 -
Repeated Learning Experience centered Teaching-Learning and Learning Community for Speech Education at the University
언어학 연구 |
23 |
2012 |
기타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