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사건

연구분야 : B020506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 > 외교/안보/통일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573

한자 : 天安艦事件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천안함 피격 사건 [ 天安艦 被擊 事件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대북 정책 [ 對北政策 ]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국가 위기 관리 () [ 國家危機管理 ]

데탕트의 쇠퇴와 남-북-미 관계의 동학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을 중심으로-

The Decline of Détente and the Dynamics of South-North Korea and US Relations: Focusing on Ax-murder Incident at Panmunjeom

군사 | 76 | 2010 | 역사학

데탕트의 쇠퇴와 남-북-미 관계의 동학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을 중심으로-

The Decline of Détente and the Dynamics of South-North Korea and US Relations: Focusing on Ax-murder Incident at Panmunjeom

군사 | | 76 | 2010 | 역사학

중국의 대북정책과 동맹의 딜레마: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hina’s Relationship with DPRK and a Dilemma of Alliance: Focused on the Sinking of ROK Ship Cheonan

현대중국연구 | 12 | 1 | 2010 | 중국

중국의 대북정책과 동맹의 딜레마: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hina’s Relationship with DPRK and a Dilemma of Alliance: Focused on the Sinking of ROK Ship Cheonan

현대중국연구 | 12 | 1 | 2010 | 중국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Beijing and Seoul?A Quest in Search of Reality

“한 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변화하는 인식과 현실 간의 간극을 중심으로-

신아세아 | 18 | 2 | 2011 | 정치외교학

The Conflict between People’s Rights and National Security i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 (FOIA)

미국 연방정보자유법(FOIA)의 형성 및 집행과정에 반영된 국민의 권리보호와 국가 안보간의 가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19 | 3 | 2010 | 행정학

The Conflict between People’s Rights and National Security i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 (FOIA)

미국 연방정보자유법(FOIA)의 형성 및 집행과정에 반영된 국민의 권리보호와 국가 안보간의 가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19 | 3 | 2010 | 행정학

미국과 한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체제 조직과 운영: 위기관리 시각에서 분석

The Organizations and Operations of the U.S. and ROK National Security Council Systems: A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risis anagement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미국과 한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체제 조직과 운영: 위기관리 시각에서 분석

The Organizations and Operations of the U.S. and ROK National Security Council Systems: An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risis anagement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죽음의 순간에야 확인되는 가족의 문화적 경계: 9.11 테러와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ultural Boundaries of Families: A Comparative Approach to the September 11 Attacks and ROKS Cheon’an Sinking

사회와 이론 | 20 | 2012 | 기타사회학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중한관계: 천안함 사건 이후를 중심으로

The Changes of China's Policy on North Korea and China-South Korea Relations after the Cheonanham Incident

한국과 국제정치 | 27 | 2 | 2011 | 정치외교학

천안함 침몰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을 통해 본 ‘국가안보’와 ‘인간안보'

National Security and Human Security through the Cheonan ship sinking and North Korea’s artillery attack on Yeonpyeong Island

아주법학 | 4 | 2 | 2010 | 법학

천안함 침몰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을 통해 본 ‘국가안보’와 ‘인간안보'

National Security and Human Security through the Cheonan ship sinking and North Korea’s artillery attack on Yeonpyeong Island

아주법학 | 4 | 2 | 2010 | 법학

천안함 사건 이후 나타난 남남갈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henomenon of South-South conflict after the Cheonan incident

Oughtopia (오토피아) | 26 | 1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정부신뢰의 위기 :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Trust in Government in South Korea: Cheonan Ship Incident and Trust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정부신뢰의 위기 :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Trust in Government in South Korea: Cheonan Ship Incident and Trust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천안함 침몰’ 사건의 보도 경향과 이데올로기적 의미 -뉴스기사들에 대한 백선기의 기호네트워크분석(SNA)과 담론구조분석(DSA)을 중심으로-

Media Coverage Patterns of the Sinking of ‘Cheonan warship’ and their Ideological Implications: A Semiotic Study on the Media Coverage through Baek’s Semiotic Network Analysis and Discursive Structure Analysis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 15 | 1 | 2011 | 인터넷신문/방송

천안함 사건이후의 한반도 주변 안보정세와 주요 도전

Security Challeng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ost-Cheonan Era

전략연구 | 17 | 50 | 2010 | 정치외교학

천안함 사건이후의 한반도 주변 안보정세와 주요 도전

Security Challeng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ost-Cheonan Era

전략연구 | 17 | 50 | 2010 | 정치외교학

천안함 피격사건과 자위권 행사

ROKS “Cheonan” attack and self-defence

국제법평론 | 32 | 2010 | 국제/해양법

천안함 피격사건과 자위권 행사

ROKS “Cheonan” attack and self-defence

국제법평론 | | 32 | 2010 | 국제/해양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