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통일연구 |
16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권력승계 시기 북한의 지배구조와 대내외 정책 전망
Power Structure and Outlook for Policy Direction during the Period of Power Transfer in North Korea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권력승계 시기 북한의 지배구조와 대내외 정책 전망
Power Structure and Outlook for Policy Direction during the Period of Power Transfer in North Korea
통일정책연구 |
19 |
2 |
2010 |
정치외교학
욕구이론을 통해서 본 남남갈등 이명박 정부의 중도실용정책과 남남갈등 해소 가능성
Human Needs Theory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Conflicts within South Korea -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Middle Road Pragmatic Policies and its Potential to Solve Conflicts within South Korea
한국정치학회보 |
44 |
2 |
2010 |
정치외교학
욕구이론을 통해서 본 남남갈등 이명박 정부의 중도실용정책과 남남갈등 해소 가능성
Human Needs Theory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Conflicts within South Korea -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Middle Road Pragmatic Policies and its Potential to Solve Conflicts within South Korea
한국정치학회보 |
44 |
2 |
2010 |
정치외교학
제3장 통일환경 변화에 따른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Issues and Challeng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Changing Unification Environments
통일전략 |
11 |
4 |
2011 |
북한정치/통일
19대 국회와 한국 외교 담론
The 19th National Assembly and Discourses of Korea’s Foreign Policy
국가전략 |
18 |
2 |
2012 |
정치외교학
한미(韓美) 언론의 북핵 위기 프레임 효과 연구1) -미디어 프레임, 수용자 프레임, 그리고 스키마를 중심으로
Framing North Korea’s nuclear crisis - Comparing the media and audiences’ frames in U.S. and South Korea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7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한미(韓美) 언론의 북핵 위기 프레임 효과 연구1) -미디어 프레임, 수용자 프레임, 그리고 스키마를 중심으로
Framing North Korea’s nuclear crisis - Comparing the media and audiences’ frames in U.S. and South Korea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7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적극억제와 강압외교 - 북한의 대남 도발 위기관리 방안 -
Proactive Deterrence and Coercive Diplomacy
국가안보와 전략 |
11 |
4 |
2011 |
정치외교학
남북관계의 현황과 과제에 따른 발전방향 : 이명박 정부의 출범 이후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Relations of North and South Korea :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Since the Launching of Lee Myung-bak's Government
평화학연구 |
12 |
3 |
2011 |
정치외교학
'제2판' 급변사태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Evaluation on the Reemergence of North Korea's Collapse Theory
한국과 국제정치 |
27 |
4 |
2011 |
정치외교학
3차 남북정상회담과 국내정치 변화
Third Inter-Korean Summit and Expected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북한연구학회보 |
15 |
1 |
2011 |
정치외교학
중국의 북핵 해결 전략과 대북 영향력 평가
China's Strategy over Nuclear Resolution in North Korea: Estimating China's Influences
국방연구 |
54 |
1 |
2011 |
정책학
남북한 교류ㆍ협력 거버넌스의 구조와 동학(動學): 김대중ㆍ노무현 정부 시기 사회ㆍ문화분야 교류ㆍ협력 협의체의 네트워크 변화를 중심으로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Governance: Focusing on Evaluation of Network Transformation in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stration
지역과 세계 |
34 |
2 |
2010 |
기타사회과학
남북한 교류ㆍ협력 거버넌스의 구조와 동학(動學): 김대중ㆍ노무현 정부 시기 사회ㆍ문화분야 교류ㆍ협력 협의체의 네트워크 변화를 중심으로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Governance: Focusing on Evaluation of Network Transformation in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stration
지역과 세계 |
34 |
2 |
2010 |
기타사회과학
북한에서의 남한연구 현황과 특징 : 대북·통일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에서의 남한연구 현황과 특징 : 대북·통일정책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중한관계: 천안함 사건 이후를 중심으로
The Changes of China's Policy on North Korea and China-South Korea Relations after the Cheonanham Incident
한국과 국제정치 |
27 |
2 |
2011 |
정치외교학
남한사회 남남갈등의 양상과 해소방안 모색
The Aspect and Solution of the South-South Conflict in South Korea
한국동북아논총 |
17 |
3 |
2012 |
사회과학일반
김영삼 정부의 대북 정책 - 내용과 평가 -
Kim Young Sam government's North Korean policy
통일전략 |
12 |
3 |
2012 |
북한정치/통일
제3의 길: 북한문제와 창조적 관여론
Creatively Engaging North Korea
국제.지역연구 |
21 |
2 |
2012 |
정치외교학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Sources of Obama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s North Korea
국제정치연구 |
13 |
2 |
2010 |
사회과학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Sources of Obama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s North Korea
국제정치연구 |
13 |
2 |
2010 |
사회과학
2010 미국 중간선거와 오바마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
The US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2010 Midterm Election
신아세아 |
18 |
1 |
2011 |
정치외교학
한국의 통일 정책 평가와 과제
Multi Dimensional Engagement Approach toward North Korea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통일 정책 평가와 과제
Multi Dimensional Engagement Approach toward North Korea
신아세아 |
17 |
4 |
2010 |
정치외교학
푸틴 이후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대북정책
Russia’s Foreign and North Korea Policy after Putin
북한연구학회보 |
14 |
1 |
2010 |
정치외교학
푸틴 이후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대북정책
Russia’s Foreign and North Korea Policy after Putin
북한연구학회보 |
14 |
1 |
2010 |
정치외교학
후진타오시기 중국의 대북정책 기조와 북핵 인식: 1`2차 핵실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China’s North Korean Policy Keynotes and Perceptions on the Nuclear Issues during the Hu Jintao Era
통일정책연구 |
19 |
1 |
2010 |
정치외교학
후진타오시기 중국의 대북정책 기조와 북핵 인식: 1`2차 핵실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China’s North Korean Policy Keynotes and Perceptions on the Nuclear Issues during the Hu Jintao Era
통일정책연구 |
19 |
1 |
2010 |
정치외교학
일본의 정치변동과 대북정책
The Change of Government in Japan and the North Korea Policy
한국정치연구 |
19 |
1 |
2010 |
한국정치사회
일본의 정치변동과 대북정책
The Change of Government in Japan and the North Korea Policy
한국정치연구 |
19 |
1 |
2010 |
한국정치사회
한반도 통일을 위한 남북협력 -6.15이후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The Coope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Korea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한반도 통일을 위한 남북협력 -6.15이후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The Coope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Korea Unification
북한학연구 |
6 |
1 |
2010 |
북한
상생·공영정책의 이론적 배경
The Underlying Perception in the Policy of Mutual Benefits and Common Prosperity
국제관계연구 |
15 |
2 |
2010 |
정치외교학
상생·공영정책의 이론적 배경
The Underlying Perception in the Policy of Mutual Benefits and Common Prosperity
국제관계연구 |
15 |
2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대북정책 변동요인: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의 대북정책 변동요인: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
11 |
3 |
2010 |
정치외교학
탈냉전 이후 한반도 문제에 대한 한국 대외정책의 '주도적 위상'과 그 가능성
South Korea's Foreign Policy toward Korean Issues: The Feasibility for Independent Variable and Its Limits
한국과 국제정치 |
27 |
4 |
2011 |
정치외교학
제1장 박정희 정부의 대북정책 - 평가와 함의 -
Park Chung Hee Government'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 Evaluation and Implication
통일전략 |
11 |
2 |
2011 |
북한정치/통일
북한 핵문제와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North Korea and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From Bush to Obama Administration
평화학연구 |
12 |
4 |
2011 |
정치외교학
대북정책 결정과정과 국회의 역할
ROK Government's Policy to the North and the Role of National Assembl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2 |
2011 |
정치외교학
이명박 정부 후반기 대북통일 정책의 과제와 전망
The study on the North Korea Policy of Problems and Prospects in MB government’s the second half of the term
북한학연구 |
6 |
2 |
2010 |
북한
이명박 정부 후반기 대북통일 정책의 과제와 전망
The study on the North Korea Policy of Problems and Prospects in MB government’s the second half of the term
북한학연구 |
6 |
2 |
2010 |
북한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단체의 대북 교류협력 분석: 광주 전남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Based on Actual Cases of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지역과 세계 |
3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지방정부와 시민사회단체의 대북 교류협력 분석: 광주 전남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Based on Actual Cases of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지역과 세계 |
3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소고 : 쟁점 및 평가
A Study on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Issues and Assessment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2 |
2012 |
정치외교학
중국의 대북정책과 동맹의 딜레마: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hina’s Relationship with DPRK and a Dilemma of Alliance: Focused on the Sinking of ROK Ship Cheonan
현대중국연구 |
12 |
1 |
2010 |
중국
중국의 대북정책과 동맹의 딜레마: 천안함 사건을 중심으로
China’s Relationship with DPRK and a Dilemma of Alliance: Focused on the Sinking of ROK Ship Cheonan
현대중국연구 |
12 |
1 |
2010 |
중국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Transfer of Power and Change of North Korea Policy: Focusing on Lee Myung-Bak Administration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Transfer of Power and Change of North Korea Policy: Focusing on Lee Myung-Bak Administration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제2장 김대중 정권 대북정책의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of the Kim Dae-Jung Regime
통일전략 |
11 |
2 |
2011 |
북한정치/통일
대북정책과 통일정책의 상관성: ‘과정으로서의 통일’과 ‘결과로서의 통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Policy and Unification Policy: ‘Unification Policy as the process’ and ‘Unification Policy as the result’
북한연구학회보 |
15 |
1 |
2011 |
정치외교학
제6장 한국의 대북정책에 있어서 남남갈등의 요인 - 특성과 함의 -
South Korea'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and South-South Conflict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통일전략 |
11 |
3 |
2011 |
북한정치/통일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Desirable Path for Future Development
한국의 대북정책: 미래의 발전을 위한 제언
신아세아 |
17 |
1 |
2010 |
정치외교학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Desirable Path for Future Development
한국의 대북정책: 미래의 발전을 위한 제언
신아세아 |
17 |
1 |
2010 |
정치외교학
남북관계와 미북관계의 갈등과 협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 탈냉전기 한ㆍ미의 역대 행정부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ter-Korean and the U.S.-North Korean Conflict-Cooperation Relations: Assessing the Role of Presidential Strategi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비교민주주의연구 |
7 |
1 |
2011 |
정치권력/정치과정
한국 대북정책의 민주적 거버넌스 모색: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earch for a Democratic Governance in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국제정치논총 |
52 |
2 |
2012 |
정치외교학
대북정책의 단절성과 남남갈등에 관한 연구
Discontinuity of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South-South Conflict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대북정책의 단절성과 남남갈등에 관한 연구
Discontinuity of Policy towards North Korea and South-South Conflict
한국동북아논총 |
15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민족주의의 거세와 공세적 국가주의로의 전환
Lee Myeong Bak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A Shift from Nationalism to Agressive Statism
동향과 전망 |
79 |
2010 |
사회과학일반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민족주의의 거세와 공세적 국가주의로의 전환
Lee Myeong Bak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A Shift from Nationalism to Agressive Statism
동향과 전망 |
|
79 |
2010 |
사회과학일반
공격적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과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Offensive Realism and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한국동북아논총 |
17 |
2 |
2012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