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시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658
한자 : 過去
영어 : past
x02-03 시점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R1:개념적 |
affects (영향) |
|
|
|
R3:시간적 |
precedes (후행(시대,현상)) |
|
|
북송 문화의 混種性과 이학문예심미
중국어문학지 | 34 | 2010 | 중국어와문학
북송 문화의 混種性과 이학문예심미
중국어문학지 | | 34 | 2010 | 중국어와문학
『정복되지 않는 자들』: 그들만의 ‘남북전쟁’
The Unvanquished: the Civil War of Their Own
영미문학교육 | 14 | 2 | 2010 | 영어와문학
『정복되지 않는 자들』: 그들만의 ‘남북전쟁’
The Unvanquished: the Civil War of Their Own
영미문학교육 | 14 | 2 | 2010 | 영어와문학
애니메이션의 일인칭 서술자 연구 : 회상으로서의 유년 체험 서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rst Person Narrator in Animation : Focusing on the narration of childhood experience as retrospection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2 | 2011 | 예술일반
부사절의 시제와 상 결합 양상 연구
A study on multi-aspects of adverbial clauses' combination of tense and aspect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고대일록』을 통해본 함양 사족층의 동향
The local literatus class in Hamyang region with reference to Kodae Diaries
南冥學硏究 | 33 | 2012 | 철학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n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초기 文科관련 의식의 운영과 그 의미—文科殿試儀註와 放榜儀註로 살펴본 朝鮮 國王의 위치—
The Managemen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Related Ceremony During the Early Joseon and the Implications Thereof—The status of the Joseon king as viewed from the Mungwa jeonsi uiju (文科殿試儀註, Book of Court Rites Pertaining to the Palace Examination) and Bangbang uiju (放榜儀註, Book of Court Rites Pertaining to the Awards Ceremony for Successful Palace Examiners)—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陶隱 李崇仁의 생애와 역사적 위상
Life and the historical standing of Doen Yi Sung-in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文科관련 의식의 운영과 그 의미—文科殿試儀註와 放榜儀註로 살펴본 朝鮮 國王의 위치—
The Managemen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Related Ceremony During the Early Joseon and the Implications Thereof—The status of the Joseon king as viewed from the Mungwa jeonsi uiju (文科殿試儀註, Book of Court Rites Pertaining to the Palace Examination) and Bangbang uiju (放榜儀註, Book of Court Rites Pertaining to the Awards Ceremony for Successful Palace Examiners)—
史叢(사총) | 75 | 2012 | 기타역사일반
無記[avyākata]와 念[sati]의 관계성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of Sati in Relation to Avyākata
禪文化硏究 | 8 | 2010 | 기타불교학
無記[avyākata]와 念[sati]의 관계성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of Sati in Relation to Avyākata
禪文化硏究 | | 8 | 2010 | 기타불교학
조선초기 한 관직자의 삶 - 『실록』을 통해 본 李之剛의 生涯와 官職活動
The Life of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A Glimpse of Lee Ji-gang(李之剛)'s life and his serving in government posts through 『Sillok(實錄)』-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초기 한 관직자의 삶 - 『실록』을 통해 본 李之剛의 生涯와 官職活動
The Life of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A Glimpse of Lee Ji-gang(李之剛)'s life and his serving in government posts through 『Sillok(實錄)』-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시간부사 <갓>에 대하여
About the Time Adverb ‘Ga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과거 러시아 민중의 세태를 반영하는 관용구 고찰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обороты, которые отражают народный быт прошлых эпох в русском языке
슬라브어 연구 | 16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과거의 재인식을 통한 자아 발견: 토마스 울프의 『천사여, 고향을 보라』와 강용흘의 『초당』을 중심으로
Self-recognition through Recapturing the Past: Focusing on Thomas Wolfe's Look Homeward, Angel and Younghill Kang's The Grass Roof
현대영미소설 | 17 | 2 | 2010 | 영어와문학
과거의 재인식을 통한 자아 발견: 토마스 울프의 『천사여, 고향을 보라』와 강용흘의 『초당』을 중심으로
Self-recognition through Recapturing the Past: Focusing on Thomas Wolfe's Look Homeward, Angel and Younghill Kang's The Grass Roof
현대영미소설 | 17 | 2 | 2010 | 영어와문학
조선후기 과거·교육에서의 요행의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s of speculative drives in the aspects of education as well as in Gwageo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교육학연구 | 48 | 4 | 2010 | 교육학
조선후기 과거·교육에서의 요행의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s of speculative drives in the aspects of education as well as in Gwageo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교육학연구 | 48 | 4 | 2010 | 교육학
朝鮮時代 地方 居住 士族의 社會的 地位 維持 努力과 司馬試 ―羅州 居住 司馬試 入格者 實態 分析을 中心으로―
An Analysi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Naju Area during the Chosun Dynasty
이화사학연구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朝鮮時代 地方 居住 士族의 社會的 地位 維持 努力과 司馬試 ―羅州 居住 司馬試 入格者 實態 分析을 中心으로―
An Analysis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in Naju Area during the Chosun Dynasty
이화사학연구 |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조선후기 試券에 대한 고찰 - 試種別 試券의 특징을 중심으로 -
Sigwon(試券) in the Late of Joseon: Around the Answer Sheet on Exam Type
古文書硏究 | 41 | 2012 | 역사학
李福休 시에 나타난 삶과 의식
A study of analysing the life and the inner world of Lee, Bok-hyu through his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초공본풀이>의 ‘과거시험’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State Examination” in Chogong Bonpoori, a Shaman Epic in Jeju Island
구비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試券에 대한 고찰 - 試種別 試券의 특징을 중심으로 -
Sigwon(試券) in the Late of Joseon: Around the Answer Sheet on Exam Type
古文書硏究 | 41 | 2012 | 역사학
唐代 進士科의 登場과 그 變遷 ― 科擧制度의 歷史的 意義 再考 ―
The Appearance of Jinshike and Its Changes in Tang China: Rethinking the Historic Implications of Keju
사림 | 36 | 2010 | 역사학
唐代 進士科의 登場과 그 變遷 ― 科擧制度의 歷史的 意義 再考 ―
The Appearance of Jinshike and Its Changes in Tang China: Rethinking the Historic Implications of Keju
사림 | | 36 | 2010 | 역사학
李福休 시에 나타난 삶과 의식
A study of analysing the life and the inner world of Lee, Bok-hyu through his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초공본풀이>의 ‘과거시험’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State Examination” in Chogong Bonpoori, a Shaman Epic in Jeju Island
구비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헤겔의 논리학에서 ‘철학의 너무 늦게 오지 않음’의 단초 -과거성과 미래성 문제에 대한 또 다른 쟁점들-
Other Issues about the Past-Future-Problem in Hegel’s Science of Logic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尹瓘의 生涯와 活動
The Life and Activity of Yun Gwan(尹瓘)
한국중세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조선후기 文科에 나타난 京鄕 간의 불균형 문제 검토
The Imbalance in successful passers’ numbers in the Capital and Local regions, displayed in the outcome of the Civil Examination system(Mun-gwa, 文科),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한국문화 | 58 | 2012 | 기타인문학
擧業을 통해 본 明末의 科擧와 學問
虚業からみた明末の科挙と学問
양명학 | 29 | 2011 | 철학
科舉制的勸學作用 -唐宋與明清的比較-
과거(科擧)의 전통 교육에 대한 영향 -당송(唐宋)과 명청(明淸)의 비교-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한글편지를 통해 본 조선후기 과거제 운용의 한 단면 : ‘진성이씨 이동표가 언간’을 중심으로
An Aspect of the State Examination(Gwageo) reviewed by Letters in Korean: Focused on Jinseong Lee Dongpyo Family’s Korean Letters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科舉制的勸學作用 -唐宋與明清的比較-
과거(科擧)의 전통 교육에 대한 영향 -당송(唐宋)과 명청(明淸)의 비교-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고려시기 科擧에서의 行卷과 家狀
Function of the Haenggwon(行卷) and Gajang(家狀) documents in the Stat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of the Goryeo Dynasty
한국사연구 | 148 | 2010 | 역사학
고려시기 科擧에서의 行卷과 家狀
Function of the Haenggwon(行卷) and Gajang(家狀) documents in the Stat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of the Goryeo Dynasty
한국사연구 | | 148 | 2010 | 역사학
고려 충숙왕 대 科擧制정비의 내용과 의미
King Chungsuk-wang's Restoration of the National Examination System's Conventions, and his objectives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시기 科擧에서의 行卷과 家狀
Function of the Haenggwon(行卷) and Gajang(家狀) documents in the Stat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of the Goryeo Dynasty
한국사연구 | 148 | 2010 | 역사학
고려시기 科擧에서의 行卷과 家狀
Function of the Haenggwon(行卷) and Gajang(家狀) documents in the Stat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of the Goryeo Dynasty
한국사연구 | | 148 | 2010 | 역사학
科擧制度의 多重性: 傳統의 近代的 解釋과 관련한 一試論
Multiple Aspects of the Keju in China: An Essay on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a Tradition
사림 | 39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