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제리를 다룬 영화에 나타난 혼종적 정체성 - <추방된 사람들>(2004)과 <영광의 날들>(2006)을 중심으로
‘L'identité hybride’ dans les films sur Algérie – à partir d’Exils(2004)et d’Indigènes(2006)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2 |
2010 |
프랑스문화학
알제리를 다룬 영화에 나타난 혼종적 정체성 - <추방된 사람들>(2004)과 <영광의 날들>(2006)을 중심으로
‘L'identité hybride’ dans les films sur Algérie – à partir d’Exils(2004)et d’Indigènes(2006)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2 |
|
2010 |
프랑스문화학
냉전, 반공주의 질서와 한국의 전쟁정치 : 국가폭력의 행사와 법치의 한계
War-Politics in Korea under the Cold War and Anticommunist Order : State Violence and limit of the Rule of Law
경제와 사회 |
89 |
2011 |
사회학
‘폭력에 기반하여’ 사라 케인의 Blasted 읽기
Reading Blasted by Sarah Kane ‘Based on Violence’
현대영미드라마 |
23 |
2 |
2010 |
현대영미희곡
‘폭력에 기반하여’ 사라 케인의 Blasted 읽기
Reading Blasted by Sarah Kane ‘Based on Violence’
현대영미드라마 |
23 |
2 |
2010 |
현대영미희곡
분단과 예외상태의 국가 : 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와 국가폭력
The Division and Exceptional Stat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Actor-Network of Division and State Violence-
북한학연구 |
8 |
1 |
2012 |
북한
국가권력에 의한 로컬의 탈장소성과 갈등: 울산공업지구를 사례로
Placelessness and Conflict of the Local by the Sovereign Power of a Nation-State: The Case of Ulsan Industrial District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14 |
2 |
2011 |
지리학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1940년대 전반 잡지 <新時代>를 중심으로―
Diglossia and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이글로시아와 언어적 예외상태 ―1940년대 전반 잡지 <新時代>를 중심으로―
Diglossia and Linguistic state of exception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절대적 계몽, 혹은 무위의 인간: 아감벤 정치철학의 현재성
The Absolute Enlightenment or Man without Ergon: Actuality of Giorgio Agamben's Political Thoughts
사회와 철학 |
21 |
2011 |
철학일반
식민지의 접경, 식민주의의 공백 - 장소로서의 부산 -
Contact-zone of colony, status of exception of colonialism -Busan as a place-
한국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비상시(非常時)’의 문/법-식민지 전시(戰時) 레짐과 문학
「非常時」の文/法 ―植民地戦時レジームと文学
사이間SAI |
12 |
2012 |
기타국문학
A Capitalist State of Exception in David Milch’s Deadwood
영어영문학연구 |
53 |
1 |
2011 |
영어와문학
법의 자기정당화의 위기-아감벤의 칸트 법개념 비판을 중심으로-
Die Krise in der Selbstrechtfertigung des Rechts-Im Hinblick auf Agamben’s Kritik an Kant’s Rechtsbegriff-
법학논총 |
27 |
3 |
2010 |
법학
법의 자기정당화의 위기-아감벤의 칸트 법개념 비판을 중심으로-
Die Krise in der Selbstrechtfertigung des Rechts-Im Hinblick auf Agamben’s Kritik an Kant’s Rechtsbegriff-
법학논총 |
27 |
3 |
2010 |
법학
주권 해체를 향한 아감벤의 예외상태론
Agamben’s Theory of the State of Exception To the Dissolution of the Sovereignty
사회과학연구 |
37 |
1 |
2011 |
사회과학일반
전쟁포로들의 저항과 반공오리엔탈리즘 ― 한국전쟁기 유엔군 포로수용소 내 사건들을 중심으로 ―
The resistance of the Prisoners of war and the Anti-communist Orientalism - Focused on the incidents in the UNC POW camps during the Korean War
사림 |
36 |
2010 |
역사학
전쟁포로들의 저항과 반공오리엔탈리즘 ― 한국전쟁기 유엔군 포로수용소 내 사건들을 중심으로 ―
The resistance of the Prisoners of war and the Anti-communist Orientalism - Focused on the incidents in the UNC POW camps during the Korean War
사림 |
|
36 |
2010 |
역사학
주권 주체와 주권의 한계: 바이마르 공화국 주권 논쟁의 한 단면
Das Subjekt der Souveränität und ihre Grenze innerhalb der Weimarer Souveränitätsdebatte
법철학연구 |
14 |
2 |
2011 |
법학
한국전쟁기 대통령 긴급명령과 예외상태의 법제화 - 비상사태하범죄처벌에관한특별조치령의 형성과정과 적용
The Presidential Emergency order during the Korean War and legislation of the state of exception - the formation of the special penalty law under the state of emergency and its application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1 |
2011 |
사회학
한국의 국가 형성기 ‘예외상태 상례’의 법적 구조 ― 국가보안법(1948·1949·1950)과 계엄법(1949)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gal Structure of ‘Usual State of Exception’ in the Formative Period of South Korea: National Security Law(1948·1949·1950) and Martial Law(1949)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