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연구분야 : A020103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정치사(역사학)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8093

한자 : 戒嚴
영어 : martial law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비상 계엄 [ 非常戒嚴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6 기능/역할 기능/역할

계엄령 [ 戒嚴令 ]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계엄법 [ 戒嚴法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예외상태 () [ 例外狀態 ]

한국전쟁과 계엄법제

The Korean War and Martial Laws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한국전쟁과 계엄법제

The Korean War and Martial Laws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

위수령의 해석과 입법방향

The Interpretation and Legislative Direction of Garrison Decree

법학논총 | 24 | 1 | 2011 | 기타법학

일제치하에서 계엄법

The Martial Law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세계헌법연구 | 18 | 2 | 2012 | 법학

계엄법 하에서 행정부에 관한 소고

A Study on administration in the Martial Law in Korea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계엄법 하에서 행정부에 관한 소고

A Study on administration in the Martial Law in Korea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