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법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B130202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행정법

클래스 : 법률/법령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680

한자 : 戒嚴法
영어 : martial law

y05-01 법률/법령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관련 법률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계엄법 위반죄 [ 戒嚴法違反罪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계엄 [ 戒嚴 ]

RT (관련어)

주관자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대통령 [ 大統領 ]

한국의 국가 형성기 ‘예외상태 상례’의 법적 구조 ― 국가보안법(1948·1949·1950)과 계엄법(1949)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gal Structure of ‘Usual State of Exception’ in the Formative Period of South Korea: National Security Law(1948·1949·1950) and Martial Law(1949)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4 | 2012 | 사회학

한국전쟁과 계엄법제

The Korean War and Martial Laws

민주법학 | 43 | 2010 | 법학

한국전쟁과 계엄법제

The Korean War and Martial Laws

민주법학 | | 43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