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실

연구분야 : A020504 인문학 > 역사학 > 인류학 > 민속학(인류학)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2252

STNet ID : 9002028

한자 : 胎室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S:동의

UF (비우선어)

 

 

태봉 [ 胎封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태실도감 [ 胎室都監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경종대왕태실 [ 景宗大王胎室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순조대왕태실 [ 純祖大王胎室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선조대왕태실비 [ 宣祖大王胎室碑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태조대왕태실 [ 太祖大王胎室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단종태실지 [ 端宗胎室址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세종대왕태실지 [ 世宗大王胎室址 ]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Study on Gabong Taesil of King Dangjong in Joseon

문화재 | 45 | 3 | 2012 | 역사학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ungjong Taebong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 Moved Taebong-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ungjong Taebong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 Moved Taebong-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A study for Feng-Shui characteristics of Taebong of King in the Joseon Dynasty

한국문화 | 59 | 2012 | 기타인문학

朝鮮王室 胎항아리 變遷硏究

A Study on Changes of Tae-Jars of the Chosun Dynasty

고문화 | 75 | 2010 | 역사학

朝鮮王室 胎항아리 變遷硏究

A Study on Changes of Tae-Jars of the Chosun Dynasty

고문화 | | 75 | 2010 | 역사학

朝鮮王室 胎室石函의 現況과 樣式變遷

Taesil Sekham Sty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朝鮮王室 胎室石函의 現況과 樣式變遷

Taesil Sekham Sty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