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 경험

연구분야 : A100100 인문학 > 문학 > 문학이론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2538

한자 : 美的經驗
영어 : Aesthetic experience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경험 (체험) [ 經驗 ]

R1:개념적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미적 거리 [ 美的距離 ]

isStateOf (상태의 대상)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예술 작품 [ 藝術作品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미적인 것 [ 美的-- ]

예술가에게 미학은 쓸모없는 것인가? - 버넷 뉴먼이 바라본 미국미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

Is Aesthetics Useless for Artist? Barnett Newman's View of American Aesthetics

인문연구 | 62 | 2011 | 기타인문학

질적 사고와 창의성 : 예술교육을 위한 새로운 개념

Qualitative Thought and Creativity : The New Ideas for Arts Education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상호작용 예술 혹은 상호작용 인공물: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HCI에 도입하려는 입장

Swing between Interactive Art and Interactive Artifacts: An Introduction of Pragmatist Aesthetics into HCI Researches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2010 | 예술일반

상호작용 예술 혹은 상호작용 인공물: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HCI에 도입하려는 입장

Swing between Interactive Art and Interactive Artifacts: An Introduction of Pragmatist Aesthetics into HCI Researches

현대미술학 논문집 | 14 | | 2010 | 예술일반

유아의 물감과 찰흙 조형 매체 탐색 경험의 의미 -예술적 경험과 앎의 과정 관계를 중심으로-

Meanings of Children's Experience on Color and Clay Art Materials -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Experiences and Thinking Process -

유아교육학논집 | 15 | 1 | 2011 | 교육학

태권도 미학

Taekwondo Aesthetics

대한무도학회지 | 12 | 2 | 2010 | 무도학

태권도 미학

Taekwondo Aesthetics

대한무도학회지 | 12 | 2 | 2010 | 무도학

전율로서 미적 경험

Aesthetic Experience as Shudder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미적 경험으로서의 펄베이시브 퍼블릭 퍼포먼스와 펄베이시브 게임

Pervasive Public Performance and Pervasive Game as Aesthetic Experience

디자인학연구 | 25 | 3 | 2012 | 디자인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 대한민국 2, 30대 여성의 美인식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

What Is Beauty? - The Aesthetic Cognition of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

소비자학연구 | 23 | 2 | 2012 | 경제학

쉴러의 미적 경험의 도덕교육적 함의

Implications of the Aesthetical Experience on Moral Education

교육철학연구 | 33 | 1 | 2011 | 교육학

‘생활세계(Lebenswelt)'의 미적 경험으로서 공예디자인

A Study on Craft Design in Aesthetic experience of ‘Lebenswelt’

조형미디어학 | 13 | 1 | 2010 | 기타미술

‘생활세계(Lebenswelt)'의 미적 경험으로서 공예디자인

A Study on Craft Design in Aesthetic experience of ‘Lebenswelt’

조형미디어학 | 13 | 1 | 2010 | 기타미술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몰입과 미적경험: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Children’s flow and aesthetic experience during their free playin early childhood classroom

유아교육연구 | 30 | 1 | 2010 | 교육학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몰입과 미적경험: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Children’s flow and aesthetic experience during their free playin early childhood classroom

유아교육연구 | 30 | 1 | 2010 | 교육학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미적 경험

Aesthetic Experience in Digital Era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2 | 2010 | 기타인문학

디지털 시대에 있어서 미적 경험

Aesthetic Experience in Digital Era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2 | 2010 | 기타인문학

미적 경험과 좋은 삶 ―마르틴 젤의 미학에 대하여

독어독문학 | 51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미적 경험과 좋은 삶 ―마르틴 젤의 미학에 대하여

독어독문학 | 51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기초상의 미적 형상성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Representation of Self-portrait in Korean Modern Poetry

한중인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식적․평가적 경험으로서 미적 감상

Aesthetic Appreciation as Cognitive and Evaluative Experience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인식적․평가적 경험으로서 미적 감상

Aesthetic Appreciation as Cognitive and Evaluative Experience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아도르노 미학의 진리내용(Wahrheitsgehalt)에 관하여

Zum Wahrheitsgehalt in Adornos Ästhetik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