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당의의 형태적 특징과 사회적 논의
The Significance of the 18th-Century Dangeui(唐衣) in the History of costume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고성 남씨 묘 출토 장의(長衣)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cavated Jang-eui from Mrs. Nam's Grave
한복문화 |
15 |
1 |
2012 |
의상
출토복식을 통한 정담(丁聃, 1476~?)의 몰년 추정
Estimation of Jung Dam(1476-?)'s Death Year with Excavated Costume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출토복식을 통한 정담(丁聃, 1476~?)의 몰년 추정
Estimation of Jung Dam(1476-?)'s Death Year with Excavated Costume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전남 곡성군 장흥마씨 출토여복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omen’s Excavated Costumes of Jang-Heng Ma clan in Jeonnam Gokseong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전남 곡성군 장흥마씨 출토여복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omen’s Excavated Costumes of Jang-Heng Ma clan in Jeonnam Gokseong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초기 출토복식의 구성법에 관한 연구 ― 광주 민속박물관 소장 高雲 출토 포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ewing Construction through the Excavated Costume of early of Chosun Period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초기 출토복식의 구성법에 관한 연구 ― 광주 민속박물관 소장 高雲 출토 포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ewing Construction through the Excavated Costume of early of Chosun Period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