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

연구분야 : G050100 예술체육 > 의상 > 복식사

클래스 : 의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29

STNet ID : 1000420

한자 : 服飾
영어 : dressing

a04-04 의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4-04 의류 의류

전통 복식 () [ 傳統服飾 ]

hasKind (종류)

 

a04-04 의류 의류

현대 복식 [ 現代服飾 ]

hasKind (종류)

 

a04-04 의류 의류

출토 복식 [ 出土服飾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4 의류 의류

의복 [ 衣服 ]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4 의류 의류

장신구 () [ 裝身具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복식 원형 () [ 服飾原形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복식 행동 분석 [ 服飾行動分析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컴포지션 [composition]

『星湖僿說』 「만물문」에 보이는 복식기록 검토 -시각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A Study of the Articles about Clothes in 『Seonghosaseol』「Manmulmun」 -Comparison through visuals-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晝永編』에 담긴 정동유의 當代 민속 인식

Juyeongpyeon(『晝永編』) and Jeong Dong-yu(鄭東愈)'s Perceptions of Folklore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晝永編』에 담긴 정동유의 當代 민속 인식

Juyeongpyeon(『晝永編』) and Jeong Dong-yu(鄭東愈)'s Perceptions of Folklore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조청 지식인의 우연한 만남과 사적 교류 - 이해응의『계산기정』을 중심으로 -

The Encounter and Interchange of Joseon’s Intellectuals and Ching’s -Focused on Lee haeung’s Gyesangijeong

동아시아문화연구 | 47 | 2010 | 기타인문학

조청 지식인의 우연한 만남과 사적 교류 - 이해응의『계산기정』을 중심으로 -

The Encounter and Interchange of Joseon’s Intellectuals and Ching’s -Focused on Lee haeung’s Gyesangijeong

동아시아문화연구 | | 47 | 2010 | 기타인문학

1905~1906년 서구식 大禮服제도 개정에 나타난 일제의 한국병탄 준비

Preparation of the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appeared in the changed system of the western-style full dress uniform in 1905~190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百濟金銅大香爐 奏樂像 服飾을 통해 본 百濟 服飾의 獨自性

A Study on the Uniqueness of the Baekje Costume, Expressed in Musicians of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역사와 담론 | 57 | 2010 | 역사학

百濟金銅大香爐 奏樂像 服飾을 통해 본 百濟 服飾의 獨自性

A Study on the Uniqueness of the Baekje Costume, Expressed in Musicians of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역사와 담론 | | 57 | 2010 | 역사학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 회화에 나타난 독일낭만주의 복식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 Romanticism Clothing Style Represented in Caspar David Friedrich’s Paintings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4 | 1 | 2012 | 의상

복식(服飾, 패션)의 인식론적 기초 연구 -메를로-퐁티의 시각적/촉각적 몸을 기반으로 -

A Study of Epistemological Ground in Dressing -with the Help of the Seeing/Thouching Body of M. Merleau-Ponty

한국여성철학 | 16 | 2011 | 여성철학

이세이 미야케(Issey Miyake)작품에 나타난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sticity Expressed on the Works by Issey Miyake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이세이 미야케(Issey Miyake)작품에 나타난 조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sticity Expressed on the Works by Issey Miyake

한복문화 | 13 | 2 | 2010 | 의상

『星湖僿說』 「만물문」에 보이는 복식기록 검토 -시각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A Study of the Articles about Clothes in 『Seonghosaseol』「Manmulmun」 -Comparison through visuals-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태권도 도복(道服)의 철학적 고찰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aekwondo Do'bok(道服)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2 | 2012 | 체육

고대 중국 복식 어휘 소고

A Thought Of Words About Clothing In Chinese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복식(服飾)미와 예술에 대한 미학적 토대 모색 -여성주의 관점에서 기호학적 미학의 적용-

A Study for Aesthetic Basis of Dress Art: A Semiotic Aesthetic Application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현상학과 현대철학 | 53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