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3641
한자 : 集團記憶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설립 초기 대한민국의 3․1절과 국민 생산
the Republic of Korea's National March-First Anniversary and Its Making of R.O.K. Kukmin (國民)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설립 초기 대한민국의 3․1절과 국민 생산
the Republic of Korea's National March-First Anniversary and Its Making of R.O.K. Kukmin (國民)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 모더니즘 시의 가치 인식과 문학사 교육
A Study on the Value Cognition of Korean Post-War Modernism Poetry and Literary Histo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삼국지』 인물 차용 시조의 유행과 시대적 동인에 대한 탐색
A Study on a Vogue of Sijo Depicting Characters in History of Three States and the Historical Causes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독일 역사주의 건축의 사례를 통해 본 심미적 역사주의
The German historicist architecture and the question of aesthetic historicism
韓國史學史學報 | 24 | 2011 | 역사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 작가의 식민지 기억과 그 재현
Postwar Writers’ Colonial Memories and their Representation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 작가의 식민지 기억과 그 재현
Postwar Writers’ Colonial Memories and their Representation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60년대 일본영화의 전위적 경향과 기억의 재현 – 요시다 기쥬를 중심으로
The Radical Tendency of Japanese Cinema in the 1960s: On the Study of the Films of Yoshida Kiju
씨네포럼 | 14 | 2012 | 영화
나치 과거의 사법적 정리 : 나치 범죄 규명을 위한 州법무부 중앙국 설치에 관한 논의
The Juridical Dealing with the Nazi Past: A Discussion on the Creation of the Central Office of the State Justice Administra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National Socialist Crimes
역사학보 | 206 | 2010 | 역사학
나치 과거의 사법적 정리 : 나치 범죄 규명을 위한 州법무부 중앙국 설치에 관한 논의
The Juridical Dealing with the Nazi Past: A Discussion on the Creation of the Central Office of the State Justice Administra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National Socialist Crimes
역사학보 | | 206 | 2010 | 역사학
국외 역사교육의 ‘역사의식’ 연구동향과 그 시사점
A Critical Review of Studies on Historical Consciousness in Other Countries
역사교육 | 123 | 2012 | 역사학
채널 아일랜즈와 나치 점령의 기억
The Channel Islands and Memory of Nazi Occupation
역사와 문화 | 20 | 2010 | 문화사(역사학)
채널 아일랜즈와 나치 점령의 기억
The Channel Islands and Memory of Nazi Occupation
역사와 문화 | | 20 | 2010 | 문화사(역사학)
6∙25전쟁과 기억의 정치: ‘강변사건’을 중심으로
The Korean War and the Politics of Memory: Focusing on the Case of Kangbyon Incident
한국문화인류학 | 44 | 1 | 2011 | 역사학
‘현재적’ 죽음과 ‘역사적’ 죽음으로 기억하기
Commemorating ‘Present’ Death and ‘Historical’ Death
방송문화연구 | 22 | 1 | 2010 | 신문방송학
‘현재적’ 죽음과 ‘역사적’ 죽음으로 기억하기
Commemorating ‘Present’ Death and ‘Historical’ Death
방송문화연구 | 22 | 1 | 2010 | 신문방송학
조선식산은행 일본인 행원의 식민지 기억
The Chosun Shiksan Bank’s Japanese employees’ memory of the colonial perio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1 | 2011 | 사회학
6.25전쟁에 대한 문화적 기억과 장소
Cultural Memory and Place for the 6.25 War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설교를 통한 신앙 공동체의 집단기억 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by preaching in the Christian community
신학과 실천 | 24 | 2010 | 기독교신학
설교를 통한 신앙 공동체의 집단기억 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by preaching in the Christian community
신학과 실천 | | 24 | 2010 | 기독교신학
서울 도심부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세대 간 장소 인식 비교연구 - 20대와 60대를 대상으로
A Study on Generation’s Perception Differences on Historic Cultural Landscape in Downtown Seoul - Focused on the Ages between Twenties and Sixties
도시설계 | 12 | 6 | 2011 | 도시개발/계획
프랑스 역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피에르 노라의『기억의 장소』에 대한 고찰-
How To Write the History of France: Pierre Nora and His Lieux de mémoire
프랑스사 연구 | 23 | 2010 | 역사학
프랑스 역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피에르 노라의『기억의 장소』에 대한 고찰-
How To Write the History of France: Pierre Nora and His Lieux de mémoire
프랑스사 연구 | | 23 | 2010 | 역사학
기억과 공간-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사막으로의 귀환>을 중심으로-
La mémoire et l'espace théâtral dans
한국연극학 | 1 | 47 | 2012 | 연극
How Does Cinema Reflect Traumatic Memory?: A Study on Turkish Cinema and Trauma Films
트라우마적 기억의 반영 : 터키영화와 트라우마영화를 중심으로
씨네포럼 | 14 | 2012 | 영화
로컬 기억과 기억의 정치-폴란드 에드바브네 유대인 학살 기억의 사례-
The Local Remembrance and the Politics of Memory: in the Memory of the Jedwabne Pogrom
대구사학 | 98 | 2010 | 역사학
로컬 기억과 기억의 정치-폴란드 에드바브네 유대인 학살 기억의 사례-
The Local Remembrance and the Politics of Memory: in the Memory of the Jedwabne Pogrom
대구사학 | 98 | | 2010 | 역사학
새로운 사회운동 방식을 통한 집단기억의 형성과 유지: 스누라이프에서의 태그달기
Collective Memory Through a New Form of Activism: SNULife and Tagging
기억과 전망 | 26 | 2012 | 사회학
최인훈과 오에 겐자부로 소설의 8⋅15 형상화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8⋅15 in Novels by Choi Inhun and Oe Kenzaburo
현대소설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인훈과 오에 겐자부로 소설의 8⋅15 형상화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8⋅15 in Novels by Choi Inhun and Oe Kenzaburo
현대소설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