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 기억

연구분야 : B210500 사회과학 > 심리과학 > 감각/지각심리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147

한자 : 集合記憶
영어 : collective memory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집단기억 [ 集團記憶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기억 () [ 記憶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안병직 [ 安秉稷 ]

R2:기능적

isAdvocatedBy (주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모리스 알박스 [Halbwachs, Maurice]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작가의 공간 체험과 기억의 재현-오유권의 <방앗골 혁명>과 선우휘의 <싸릿골의 진화>를 중심으로

Place Experience and Memory Representation of Two Post-War Writers: Focused on Revolution of Bangatgol by Oh-Youkweon and Myth of Ssaritgol by Seonwoo-Whi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수자로서의 개인적 체험과 사회적 정체성 - 손창섭의 『유맹』을 중심으로

Personal Experience and Social Identity as a Minority: Focusing Upon a Novel ‘Yumaeng’ by Son Chang-seop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1940-50년대 문학에 나타난 미군의 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U.S. Army in the Literature of 1940-50's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50년대 문학에 나타난 미군의 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U.S. Army in the Literature of 1940-50's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중성의 확대와 변형 - 1950년대 박계주의 신문연재소설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Remembering a Haven from Shame: Construction of Japanese American Memory in Seabrook

치욕에서 안식처를 기억하다: 일본계 미국인들의 시브룩 삶에 대한 집합기억의 구성

미국학 논집 | 42 | 1 | 2010 | 영어와문학

Remembering a Haven from Shame: Construction of Japanese American Memory in Seabrook

치욕에서 안식처를 기억하다: 일본계 미국인들의 시브룩 삶에 대한 집합기억의 구성

미국학 논집 | 42 | 1 | 2010 | 영어와문학

구술사로 보는 새로운 역사

New History Viewed by a Oral History: Focusing on the Role of Chrisitian Democratizers in Modern History of Korea

한국교회사학회지 | 31 | 2012 | 기독교신학

역사적 사건의 기억, 재현, 그리고 공유 감각 -유치진의 <조국>, <흔들리는 지축>, <며느리>를 중심으로

Memory of Historical events,representation,and collected memo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