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시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4459

한자 : 親日詩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일제강점기 () [ 日帝强占期 ]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국민시 [ 國民詩 ]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문화 이데올로기 [ 文化-- ]

한국 현대시 연구의 성과와 전망 —‘운명’과 ‘혁명’, 왜, 아직도 ‘임화’와 ‘김수영’인가?

A Study on the Achievements and Prospects of the Research on Korean Modern Poetry —Destiny and Revolution: Why Still Lim Hwa and Kim Sooyoung?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찬 시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about Lee Chan’s poetr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of North Korea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1 | 기타국문학

노천명의 자의식과 친일․애국시 연구

A study of Nho Chun Myung's self identity, pro-japanism and patriotic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삼천리』 시에 함축된 문화이데올로기

Implicit Cultural Ideology at the Poem Sam-Cheon-Ri

인문과학연구 | 27 | 2010 | 기타인문학

『삼천리』 시에 함축된 문화이데올로기

Implicit Cultural Ideology at the Poem Sam-Cheon-Ri

인문과학연구 | | 2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