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현상

연구분야 : B0809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9369

한자 : 多文化現象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한국 속 동남아 현상 () [ 韓國屬東南亞現象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이질 문화 [ 異質文化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다문화 사회 () [ 多文化社會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다문화 공간 [ 多文化空間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이방인 (소설) [ 異邦人 ]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

Analysis of cultural exchanges in the ancient and medieval Ages described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동국사학 | 48 | 2010 | 역사학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

Analysis of cultural exchanges in the ancient and medieval Ages described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동국사학 | | 48 | 2010 | 역사학

한·영 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인구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UK -A case of the unit related on population-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20 | 1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