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연구분야 : A160201 인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프랑스문학 > 소설(프랑스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673

한자 : 異邦人
프랑스어 : L'Étranger
영어 : The Stranger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알베르 카뮈

장르/유형

소설 (小說)

저작년_t

1942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실존주의 문학 () [ 實存主義文學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시지프의 신화 [ --神話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칼리굴라 [Caligula]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클로드 시몽 [Simon, Claude]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다문화 현상 () [ 多文化現象 ]

중국의, 중국에 의한, 중국을 위한 영웅의 귀환 - 馬楚成의 〈花木蘭〉(2009)을 중심으로

A Heroine of the China, by the China, for the China- The Return of the Woman Warrior

중국소설논총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중국의, 중국에 의한, 중국을 위한 영웅의 귀환 - 馬楚成의 〈花木蘭〉(2009)을 중심으로

A Heroine of the China, by the China, for the China- The Return of the Woman Warrior

중국소설논총 |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인정투쟁”으로서 주변의 재발견―독일사회의 일국적 패러다임과 트랜스내셔널 이주민공동체

The Rediscovery of the Periphery a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National Paradigm of the German Society and transnational Immigration Communities

역사비평 | 93 | 2010 | 역사학

“인정투쟁”으로서 주변의 재발견―독일사회의 일국적 패러다임과 트랜스내셔널 이주민공동체

The Rediscovery of the Periphery as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National Paradigm of the German Society and transnational Immigration Communities

역사비평 | | 93 | 2010 | 역사학

소선 태자의 이방 체험으로 본 <육미당기>

The Experience of a Foreign Land and a Foreign Existence Depicted in the Novel Yukmidanggi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이사야 56장 1-8절의 재건공동체

The Restoration Community in Isaiah 56, 1-8

장신논단 | 39 | 2010 | 기독교신학

이사야 56장 1-8절의 재건공동체

The Restoration Community in Isaiah 56, 1-8

장신논단 | | 39 | 2010 | 기독교신학

메어리 셸리의『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이방인과 환대의 문제

Strangers and Hospitality in Mary Shelley’s Frankenstein

영어영문학 | 57 | 1 | 2011 | 영어와문학

‘다문화사회’와 『崧陽耆舊傳』

‘Muliticultural-Society’ and Soongyang-Kigu-Jeon

코기토 | 68 | 2010 | 기타인문학

‘다문화사회’와 『崧陽耆舊傳』

‘Muliticultural-Society’ and Soongyang-Kigu-Jeon

코기토 | 68 |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성, 현대인 그리고 이방인: 이방인으로서의 현대인

Modernity, Modern Man, and the Stranger: Modern Man as a Stranger

사회이론 | 39 | 2011 | 사회학

사도행전에 나타난 선교학적 주제들의 고찰

A Study of the Missiological Themes Revealed in the Acts of the Apostles

선교신학 | 23 | 23 | 2010 | 기독교신학

『이방인』의 살인사건과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

L'affaire de meurtre de L'Etranger et la triple mimésis de Ricoeur

프랑스어문교육 | 35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이방인』의 살인사건과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

L'affaire de meurtre de L'Etranger et la triple mimésis de Ricoeur

프랑스어문교육 | | 35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이주의 서사와 로컬리티 - 『나마스테』와 『잘가라, 서커스』에 재현된 이주 공간

Narrative for Migration and Locality - Representaion of Migration in Namaste and Goodbye, Circus -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주의 서사와 로컬리티 - 『나마스테』와 『잘가라, 서커스』에 재현된 이주 공간

Narrative for Migration and Locality - Representaion of Migration in Namaste and Goodbye, Circus -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방인의 상반된 의미작용으로서 성과 속의 기호학적 연구 -한국의 <도깨비> 콘텐츠와 일본의 <요괴> 콘텐츠의 의미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A Semiotic Study about the Sacred and the Profane as a Double-edged Semiosis of Outsiders: Focusing on the Semiotic Interpretation of Japanese ‘’ and Korean ‘’ contents

동아연구 | 59 | 2010 | 지역학

이방인의 상반된 의미작용으로서 성과 속의 기호학적 연구 -한국의 <도깨비> 콘텐츠와 일본의 <요괴> 콘텐츠의 의미생산 과정을 중심으로-

A Semiotic Study about the Sacred and the Profane as a Double-edged Semiosis of Outsiders: Focusing on the Semiotic Interpretation of Japanese ‘’ and Korean ‘’ contents

동아연구 | | 59 | 2010 | 지역학

식민지 근대성의 사회심리학 : ‘이방인론’을 통해 본 식민지의 근대

Colonial Modernity in Social Psychology : Stranger's Recipe for Modernization in Colonial Korea

언론과 사회 | 20 | 3 | 2012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