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연구분야 : D070700 공학 > 생물공학 > 식물

클래스 : 식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012

한자 : 植物
영어 : plants

a03-02 식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3 자연물 자연물

생물체 [ 生物體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3 자연물 자연물

생물 [ 生物 ]

N1:종류

hasKind (종류)

 

a03-02 식물 식물

선태 식물 [ 蘚苔植物 ]

hasKind (종류)

 

a03-02 식물 식물

다육 식물 [ 多肉植物 ]

hasKind (종류)

 

a03-02 식물 식물

귀화 식물 [ 歸化植物 ]

hasKind (종류)

 

 

자원 식물 [ 資源植物 ]

hasKind (종류)

기후

a03-02 식물 식물

아열대 식물 [ 亞熱帶植物 ]

hasKind (종류)

기후

a03-02 식물 식물

극지 식물 [ 極地植物 ]

hasKind (종류)

기후

a03-02 식물 식물

한지 식물 [ 寒地植物 ]

hasKind (종류)

기후

a03-02 식물 식물

열대 식물 [ 熱帶植物 ]

hasKind (종류)

수분조건

a03-02 식물 식물

건생 식물 [ 乾生植物 ]

hasKind (종류)

수분조건

a03-02 식물 식물

습생 식물 [ 濕生植物 ]

hasKind (종류)

수분조건

a03-02 식물 식물

중생 식물 [ 中生植物 ]

hasKind (종류)

환경

a03-02 식물 식물

온실 식물 [ 溫室植物 ]

hasKind (종류)

환경

a03-02 식물 식물

황원 식물 [ 荒原植物 ]

hasKind (종류)

환경

a03-02 식물 식물

고산 식물 [ 高山植物 ]

hasKind (종류)

환경

a03-02 식물 식물

사막 식물 [ 沙漠植物 ]

hasKind (종류)

환경

a03-02 식물 식물

암극 식물 [ 岩隙植物 ]

hasKind (종류)

환경

a03-02 식물 식물

수중 식물 [ 水中植物 ]

hasKind (종류)

환경

a03-02 식물 식물

육상 식물 [ 陸上植物 ]

hasKind (종류)

 

 

관속 식물 () [ 管束植物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a03-02 식물 식물

목본 식물 [ 木本植物 ]

hasBranch (분기/분과)

 

a03-02 식물 식물

초본 식물 [ 草本植物 ]

hasBranch (분기/분과)

a03-02 식물 식물

속씨 식물 [ --植物 ]

hasBranch (분기/분과)

a03-02 식물 식물

겉씨 식물 [ --植物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탄소 순환 [ 炭素循環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유효 수분 [ 有效水分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빛 공해 [ -公害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녹시율 [ 綠視率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천연기념물 (문화재보호법) [ 天然紀念物 ]

RT (관련어)

 

 

식물 생산 공학 [ 植物生産工學 ]

RT (관련어)

 

 

식물 생명 공학 [ 植物生命工學 ]

RT (관련어)

 

 

식물 발생 [ 植物發生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군락 [ 群落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a03-02 식물 식물

자초 [ 紫草 ]

王守仁의 心學에서 植物과 鑛物 비유의 의의

A meaning of the metaphors of plants and minerals in Wang Shouren' Sinxue.

환경철학 | 11 | 2011 | 과학/자연철학

제주 아홉고랑풀의 사례를 통해 본 약초 지식의 탄생

The birth of ‘traditional knowledge’ through the case of ‘Ahop-golangpul’ in Jeju

한국학연구 | 37 | 2011 | 기타인문학

전통 오브제를 활용한 화훼디자인 작품 분석

An Analysis of Floral Design Works Using Traditional Korean Objet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전통 오브제를 활용한 화훼디자인 작품 분석

An Analysis of Floral Design Works Using Traditional Korean Objets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民國時期 雲南의 自然生態와 經濟貿易

The Natural Ecology and Economic and Trading Activity in Unnam of the Republican China Age

중국사연구 | 78 | 2012 | 동양사

傳統藥學文本中食物‘物性’的變遷與困境 —以『調疾飲食辨』為主的討論-

전통 약학 서적속의 食物 ‘物性’의 변천과 곤경 -『調疾飲食辨』을 중심으로 한 검토-

중국사연구 | 68 | 2010 | 동양사

傳統藥學文本中食物‘物性’的變遷與困境 —以『調疾飲食辨』為主的討論-

전통 약학 서적속의 食物 ‘物性’의 변천과 곤경 -『調疾飲食辨』을 중심으로 한 검토-

중국사연구 | | 68 | 2010 | 동양사

김현승 초기시의 식물과 은유 양상

Plant and Metaphor Aspects in Kim Hyeon-Seung's Early Period Poems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시의 언어와 미적 원리 - 백석 시의 박물학적 특성과 감각의 깊이

Language and aesthetic principle of Baek-Seok's poe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물윤리학의 원리- 식물윤리학의 근거 정립을 위한 시론적 연구

Principles of Ethics of Plants - A Pilot Study on Groundwork of Ethics of Plants -

환경철학 | 12 | 2011 | 과학/자연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