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요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10

STNet ID : 9006531

한자 : 官窯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고려시대 () [ 高麗時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가마 () [kiln]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사기장 [ 沙器匠 ]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분원 [ 分院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가마터 [Kiln site]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대응

 

민요 (가마) [ 民窯 ]

produces (대상 개념)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도자기 () [ 陶瓷器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광주 관요 [ 廣州官窯 ]

조선시대 관요 철화백자의 성격 변화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Porcelain in Underglaze Iron-brown Produced in Joseon Official Kilns

미술사연구 | 25 | 2011 | 미술

朝鮮王室 胎항아리 變遷硏究

A Study on Changes of Tae-Jars of the Chosun Dynasty

고문화 | 75 | 2010 | 역사학

朝鮮王室 胎항아리 變遷硏究

A Study on Changes of Tae-Jars of the Chosun Dynasty

고문화 | | 75 | 2010 | 역사학

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生産ㆍ消費遺蹟出土品을 中心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Royal Kilns as Evidenced by 17th Century White Porcelain with Inscriptions Focusing on excavated remains related to consumption and production

한국고고학보 | 77 | 2010 | 역사학

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生産ㆍ消費遺蹟出土品을 中心으로-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Royal Kilns as Evidenced by 17th Century White Porcelain with Inscriptions Focusing on excavated remains related to consumption and production

한국고고학보 | | 77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