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방언

연구분야 : A11011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방언학(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4037

한자 : 東南方言
영어 : southeastern dialect of Korean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언어변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상도 [ 慶尙道 ]

S:동의

UF (비우선어)

 

 

경상 방언 [ 慶尙方言 ]

UF (비우선어)

 

 

영남방언

UF (비우선어)

 

 

경상도 방언 [ 慶尙道方言 ]

UF (비우선어)

 

 

경상도 사투리 [ 慶尙道--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한국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지역 방언 [ 地域方言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남부 동남 방언 () [ 南部東南方言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북부 동남방언 () [ 北部東南方言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부산 방언 () [ 釜山方言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북부 경상 방언 () [ 北部慶尙方言 ]

‘하야[爲]’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Diachronic Change of ‘하야(haya)’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七大萬法>에 실현된 16세기 후기 동남방언의 표기 및 음운적 특징

A Study on Spelling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utheastern Dialect in the Latter Half of 16th Century in focucing on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