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감정론의 추이와 감정의 문화 규약 - 사대부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Discourses of Emotions and their Metaphysics during the Joseon Period : Focusing on the Joseon Literari's Writings written in Hanmun (Chinese Script)
동방학지 |
159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감정론의 추이와 감정의 문화 규약 - 사대부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
Discourses of Emotions and their Metaphysics during the Joseon Period : Focusing on the Joseon Literari's Writings written in Hanmun (Chinese Script)
동방학지 |
159 |
2012 |
기타인문학
나(I)와 우리(We)의 정체성 변화와 감정관리
Identity change of ‘I’, 'we' and the emotion control
문화와 사회 |
9 |
1 |
2010 |
문화/종교사회학
나(I)와 우리(We)의 정체성 변화와 감정관리
Identity change of ‘I’, 'we' and the emotion control
문화와 사회 |
9 |
1 |
2010 |
문화/종교사회학
초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 연구
A Study on Emotion Labo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국교육학연구 |
17 |
3 |
2011 |
교육학
목회상담에서 감정의 사회성
The Sociality of Emotions in Pastoral Counselling
목회와상담 |
18 |
2012 |
목회상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