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번역

연구분야 : A220000 인문학 > 통역번역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6037

STNet ID : 9000899

한자 : 文化飜譯
영어 : Cultural Translation

b01-01 행위/활동

행위자

번역가 (飜譯家)

행위대상(자)

문화 (文化)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화 인류학 [ 文化人類學 ]

서정주의 50년대 시세계와 신라정신의 구체성 ― 『신라초』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The Poetry of Suh, Jung-ju during the 1950s and Shilla Spirit — an essay for research of "Shillacho"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번역자의 책무—발터 벤야민과 문화번역

The Task of the Translator: Walter Benjamin and Cultural Translation

영어영문학 | 57 | 2 | 2011 | 영어와문학

A Study of Cultural Translation and the Problem of Language - based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Polish epic poem Pan Tadeusz

문화번역 및 언어적 문제 연구 - 아담 미츠키에비치의 <판 타데우시>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 38 | 2012 | 문학

5․18 서사로서의 <햄릿>과 기국서의 연극사적 위치 -<기국서의 햄릿> 연작을 중심으로-

Hamlet as an epic 5ㆍ18 and Ki Kukseo's position in Korean theatre history -focused on Ki Kukseo's Hamlet series-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글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문화 번역 - 『훈민정음』(1446)과 『글자의 혁명』(1947)을 바탕으로-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Letters in Korean and Cultural Translations Therein : A Study on Hunminjeongeum (1446) and Revolution of Letters (1947)

우리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 말기 극단 신협(新協)의 <춘향전> 공연양상과 문화횡단의 정치성 연구

日帝末期劇団新協の<春香伝>公演様相と文化横断の政治性研究

한국연극학 | 40 | 2010 | 연극

일제 말기 극단 신협(新協)의 <춘향전> 공연양상과 문화횡단의 정치성 연구

日帝末期劇団新協の<春香伝>公演様相と文化横断の政治性研究

한국연극학 | | 40 | 2010 | 연극

1930년대 말 <신협(新協)>의 『춘향전』공연 관련 좌담회 연구

A Study on the Round-table Discussion About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by the Theater Group, “Sin-hyeop” in late 1930s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말 <신협(新協)>의 『춘향전』공연 관련 좌담회 연구

A Study on the Round-table Discussion About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by the Theater Group, “Sin-hyeop” in late 1930s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蔡萬植의 <冷凍魚>와 內鮮 戀愛의 問題

Chae, Man-sic’s and the problem on the Marriage between Imperial Woman and Colonial Man

한국문화 | 51 | 2010 | 기타인문학

蔡萬植의 <冷凍魚>와 內鮮 戀愛의 問題

Chae, Man-sic’s and the problem on the Marriage between Imperial Woman and Colonial Man

한국문화 | | 5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을 그리다 - 100년 전 어느 만화저널리스트의 ‘조선’ -

「朝鮮」を描く - 100年前ある漫畵ジャーナルリストがみた「朝鮮」 - Portraying Chosen(朝鮮): Chosen a century ago from the perspective of a cartoon journalist

日本學硏究 | 34 | 2011 | 일본어와문학

동아시아 문화연구의 성과와 새로운 조건 :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편, 『동아시아 문화의 생산과 조절』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outcomes and new conditions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한국학연구 | 25 | 2011 | 기타인문학

월드 뮤직과 (문화)번역의 실천: ‘대화적이지만 불평등한’ 네트워크와 그 불만들

World Music and the Practices of (Cultural) Translation : The Dialogical but Unequal Network and its discontents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하층계급 인물의 생성과 사회 구조망 -조선작의 ≪영자의 전성시대≫를 중심으로-

The Becoming of underclass and Social Network Structure -Focusing on 『Yeong-Ja's Heydays』 by Jo Seonjak-

현대소설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화번역’과 포스트식민 이주서사: 자메이카 킨케이드의 『루시』

'Cultural Translation' and Postcolonical Immigrant Narrative: Jamaica Kincaid's Lucy

현대영미소설 | 19 | 1 | 2012 | 영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nd translators' task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nd translators' task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펄벅 <대지> 의 여성지시어 번역 양상 고찰* 한국어번역과 일본어번역 비교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Translation of Female Infinitives in Pearl Buck’s - Looking at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s

통번역학연구 | 16 | 3 | 2012 | 통역번역학

20세기 초 한국의 문명전환과 번역 -重譯과 譯述의 문제를 중심으로-

Translation and Change in Civilization in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Problems of Translation From Translation and Paraphrase-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생존의 문화번역과 수키 김의『통역가』

Cultural Translation as Survival and Suki Kim’s The Interpreter

미국학 논집 | 43 | 2 | 2011 | 영어와문학

문화번역의 정치성: 이국성의 해방과 이웃되기

Politics of Cultural Translation: the Emancipation of Foreignness and Becoming Neighbors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문화번역의 정치성: 이국성의 해방과 이웃되기

Politics of Cultural Translation: the Emancipation of Foreignness and Becoming Neighbors

비평과이론 | 15 | 1 | 2010 | 영어와문학

문화번역으로서의 민족무용: 최승희의 경우

Ethnic dance as Cultural translation: In the case of Choi Seung-he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 | 2012 | 사회학

시대적 거울로서의 틈새 공간: 문화번역과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비평

Interstitial Space as a Mirror of the Era: Cultural Translation and Korean Art Criticism on Postmodernism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1 | 2010 | 미술

문화번역과 젠더번역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cultural translation and gender translation

통번역학연구 | 16 | 3 | 2012 | 통역번역학

황석영 소설의 ‘한국’ 번역과 혼종성: 『손님』을 중심으로

Cultural Translation of ‘Korea’ and Hybridity in Hwang, Sok-yong’s Novel ―Focused on The Guest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