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언어

연구분야 : A092300 인문학 > 언어학 > 언어교육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6629

한자 : 目標言語
영어 : target language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언어 () [ 言語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중간 언어 () [ 中間言語 ]

漢語動詞의 일한번역에 관한 일고찰-『ノルウェイの森』를 중심으로 -

A study of [kango+suru] verb in Japanese into Korean translation - Focusing on『Norwegian woods』-

일본근대학연구 | 33 | 2011 | 일본문화학

中·日·韓三ヶ国のアスペクト体系の対照研究

중·일·한 3개국 아스펙트 체계의 대조연구

일본어교육연구 | 19 | 2010 | 일본어교육

中·日·韓三ヶ国のアスペクト体系の対照研究

중·일·한 3개국 아스펙트 체계의 대조연구

일본어교육연구 | | 19 | 2010 | 일본어교육

오르한 파묵 번역과정의 문제점과 대응사례

Problem of Orhan Pamuk's Translation Process and Response Instance

통번역학연구 | 14 | 2 | 2011 | 통역번역학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중화문명권으로의 진입과 탈출을 중심으로

Cultural Significance of Vernacular Translation Project in Early Joseon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일동시통역에 있어서의 유창성 전략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about the Fluency Strategy in the Korea Japanes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일어일문학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일동시통역에 있어서의 유창성 전략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about the Fluency Strategy in the Korea Japanes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일어일문학 |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