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지지

연구분야 : B1206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심리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6655

한자 : 父母支持
영어 : parent support

b01-01 행위/활동

행위자

청소년 (靑少年)

행위대상(자)

부모 (父母)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사 지지 [ 敎師支持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부모 감독 () [ 父母監督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친구 지지 [ 親舊支持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부모 관계 () [ 父母關係 ]

성폭력 피해아동의 폭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closure of Child Sexual Abuse

피해자학연구 | 19 | 1 | 2011 | 법학

성취압력과 입시부담감이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부모지지의 조절효과-

Effects of achievement pressure and entrance-exam burden o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upport-

미래청소년학회지 | 9 | 2 | 2012 | 기타사회과학

자아정체감 수준에 따른 대학생 집단의 유형과 관련요인 분석

Understanding Latent Sub-group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Level of Ego-identity

아시아교육연구 | 13 | 3 | 2012 | 교육학

빈곤가정 아동의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부모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ss Related with Parents and Parent Support on 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Poverty

한국교육논단 | 9 | 1 | 2010 | 교육학

빈곤가정 아동의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부모지지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ss Related with Parents and Parent Support on 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in Poverty

한국교육논단 | 9 | 1 | 2010 | 교육학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규범부적응의 관계:중퇴의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s' norm maladjustment: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ntion of school dropout

상담학연구 | 11 | 4 | 2010 | 교육학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규범부적응의 관계:중퇴의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s' norm maladjustment: Moderating effect of the intention of school dropout

상담학연구 | 11 | 4 | 2010 | 교육학

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 지지와 청소년의 자살충동간 인과관계 분석 : 성별 차이

A Causal Analysis of Suicidal Impulse in the Context of Parents, Friends, Teachers and Community Support: Gender Difference

한국인구학 | 34 | 2 | 2011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분석

Longitudinal Associations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Support,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사회과학연구 | 27 | 3 | 2011 | 기타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