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0

STNet ID : 1000129

한자 : 光州
기타 : Gwangju

x01-03 도시/구/동명

위치

전라남도 (全羅南道)

면적_t

501.26 km²

인구_t

1,483,708(2010)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광주광역시 [ 光州廣域市 ]

UF (비우선어)

 

 

전라남도 광주 () [ 全羅南道光州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광역시 () [ 廣域市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시(市) (행정구역) [ 市 ]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광주 시민 () [ 光州市民 ]

정암 이종훈의 생애와 민족운동

Life and Racial Movement of Jeong-am Jonghoon Le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한국 도시공간의 문화 정체성과 서사성 - 서울, 안동, 광주, 전주를 분석대상으로 한 기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

Eine semiotische Untersuchung der kulturellen Identitäten und Narrativitäten von den koreanischen Städten

기호학 연구 | 30 | 2011 | 언어학

광주광역시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에서의 한국어교육 정책 개선방안

Improving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인문사회과학연구 | 27 | 2010 | 학제간연구

광주광역시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에서의 한국어교육 정책 개선방안

Improving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인문사회과학연구 | | 27 | 2010 | 학제간연구

광산농악의 지역적 기반과 가락 구성

The Principle and Meaning of Tune Composition of Gwangsan Nongak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에 대한 평가 - 광주광역시 5개 구의회를 중심으로 -

The Evaluation of Local Council Activities, with Special Reference to 5 Borough Counci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의정논총 | 6 | 1 | 2011 | 정치행정

唐代 嶺南道 東4州 州縣 沿革 考察

A Study for the Change of the ZhouXian in LingNanDao on Tang Dynasty

중국사연구 | 79 | 2012 | 동양사

노인전문병원의 시설 및 인력에 관한 평가기준 설정 연구-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Evaluation Standards for Facilities and Staff Members of Geriatric Hospitals in Gwangju City

인문사회과학연구 | 29 | 2010 | 학제간연구

노인전문병원의 시설 및 인력에 관한 평가기준 설정 연구-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Evaluation Standards for Facilities and Staff Members of Geriatric Hospitals in Gwangju City

인문사회과학연구 | | 29 | 2010 | 학제간연구

복리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 1985년∼2005년 전남지역을 사례로

Spatio-Temporal Changes of Social-wellbeing: A Case Study of JeollaNamdo Region, 1985∼200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2 | 2011 | 지리학

예술은 시장을 구할 수 있는가?: 광주광역시 대인시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Could art save a market place?: A case study on Dae-In traditional market in Gwangju city

민주주의와 인권 | 12 | 1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19세기 베트남 관선의 광동(廣東) 왕래 시말

Vietnamese Court Vessel Journeys to Canton in the 19th Century

동남아시아연구 | 21 | 3 | 2011 | 지역학

일제하 전라남도의 육상교통망 형성과 일상의 변화

Development of Land Transportation Network in Jeonnam Reg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Changes in Daily Lives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일제하 전라남도의 육상교통망 형성과 일상의 변화

Development of Land Transportation Network in Jeonnam Reg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Changes in Daily Lives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광주칠석동고싸움놀이의 문화적 표상과 가치

Cultural ticket as a matter of Gwangju Chilseok Gossaum and value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일제강점기 경기도 광주 출신 石惠煥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Seok, Hye-hwan's National and Social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서울과 역사 | 80 | 2012 | 역사학

光州 地域의 漢文學 活動에 관한 硏究 - 光山 地域을 中心으로

The research on the literature activity written by Korean-chinese letter in gwang- ju (Focus on the gwang-san area)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광주 석서정의 명칭 및 기문 연구

A study on the Name and Gimoon(記文) of Seokseojeong(石犀亭) in Gwangju

호남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광주 석서정의 명칭 및 기문 연구

A study on the Name and Gimoon(記文) of Seokseojeong(石犀亭) in Gwangju

호남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廣東 13行과 개항의 기억

Thirteen Hongs of Canton’s and Memories of Port Opening

史叢(사총) | 76 | 2012 | 기타역사일반

내림굿의 굿거리 형성 과정과 특징 -광주지역 강신무굿을 중심으로-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utgeori in Naerim Gut(Shamanistic Rite) -Focusing on spiritualistic shamans in Gwangju area-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

내림굿의 굿거리 형성 과정과 특징 -광주지역 강신무굿을 중심으로-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Gutgeori in Naerim Gut(Shamanistic Rite) -Focusing on spiritualistic shamans in Gwangju area-

남도민속연구 | | 21 | 2010 | 역사학

5·18항쟁기 민간인 희생자들을 위한 진혼곡

The requiem for the civilian victims during the May 18, 1980 uprising in Gwangju

역사비평 | 90 | 2010 | 역사학

5·18항쟁기 민간인 희생자들을 위한 진혼곡

The requiem for the civilian victims during the May 18, 1980 uprising in Gwangju

역사비평 | | 90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