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다문화 의식 함양을 위한 『삼국유사』의 창의적 글쓰기와 독서토론 연구-중학교 교과 <서동요> 교육의 미디어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Creative writing and Reading Discussion of Samgukyusa to build up Juvenil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 Focusing on the Media utilizing possibility of Sudongyo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다문화콘텐츠연구 |
1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고전읽기를 통한 교양교육의 혁신 -숙명여대의 ‘인문학 독서토론’ 강좌를 중심으로-
Reading Classic and Liberal Education
독서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독서토론이 고등학생의 감상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ok Discussions on Highschool Students' Writing Book Journals
새국어교육 |
88 |
2011 |
국어교육
신화적 상상력을 활용한 경계를 넘는 독서토론과 융합적 글쓰기 연구 - <삼국유사: 기이편>에 기술된 다문화 상상력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an Integrated Writing and Reading Debate beyond Major Boundaries using a Mythical Imagination -Focusing on a multicultural imagination described in Samgukyusa: Strange Stories-
시학과 언어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독서토론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덕성여대 ≪독서와 표현≫ 강좌에서 참고자료의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reading discussion in University
교양교육연구 |
4 |
2 |
2010 |
학제간연구
독서토론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덕성여대 ≪독서와 표현≫ 강좌에서 참고자료의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activation of reading discussion in University
교양교육연구 |
4 |
2 |
2010 |
학제간연구
독서교육의 방향 찾기
Finding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독서교육의 방향 찾기
Finding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1 |
2010 |
국어교육
독서토론과 연계한 대학글쓰기 수업의 효과 -덕성여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lass along with ‘reading discussion’ -In the case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독서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