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연구분야 :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468

한자 : 討論
영어 : debate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논단 [ 論壇 ]

S:동의

UF (비우선어)

 

 

포럼

UF (비우선어)

 

 

디베이트

UF (비우선어)

 

 

공론식 토의법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담화 유형 () [ 談話類型 ]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공적 말하기 [ 公的--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공적 토론 [ 公的討論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온라인 토론 () [ --討論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TV 토론 [ --討論 ]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철학적 토론 활동 [ 哲學的討論活動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독서 토론 () [ 讀書討論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절차적 민주주의 () [ 節次的民主主義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CEDA 토론모델 [ --討論-- ]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세미나 [seminar]

RT (관련어)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탐구공동체 [ 探究共同體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논파 [ 論破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논쟁점 [ 論爭點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평의 [ 評議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패널 (토의) [panel]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논의 [ 論議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분야별 사회적 대화 () [ 分野別社會的對話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논단 [ 論壇 ]

시사 토론에 나타나는 반복 유형과 기능 연구-타인 발화 반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ypes and Functions of Repetition in A Current Affairs Debate -Focusing on Repetition of Other’s Speech-

화법연구 | 20 | 2012 | 한국어와문학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Improvement Measures and a Class Model for Korean Course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워즈워스 시 가르치기와 생태의식의 확장: 어린이와 자연의 주제를 중심으로

Teaching Wordsworth’s Poetry and Development of Eco-consciousness: Focused on the Theme of Child and Nature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워즈워스 시 가르치기와 생태의식의 확장: 어린이와 자연의 주제를 중심으로

Teaching Wordsworth’s Poetry and Development of Eco-consciousness: Focused on the Theme of Child and Nature

영미문학교육 | 14 | 1 | 2010 | 영어와문학

1748년 제10차 戊辰通信使 醫員筆談의성격 변천 연구 - 『對麗筆語』와 『朝鮮筆談』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character in medicalconversation by writing of 1748 -written around the ‘Dae-ryeo-pil-ur(對麗筆語)’ and ‘Cho-sun-pil-dam(朝鮮筆談)’-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1748년 제10차 戊辰通信使 醫員筆談의성격 변천 연구 - 『對麗筆語』와 『朝鮮筆談』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character in medicalconversation by writing of 1748 -written around the ‘Dae-ryeo-pil-ur(對麗筆語)’ and ‘Cho-sun-pil-dam(朝鮮筆談)’-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독서, 토론, 글쓰기 수업 방안 - J. P. 헤벨의 <뜻밖의 재회>를 활용하여-

Ein Unterrichtsmodell für Lesen, Diskussion und Schreiben als eine Methode zur Ausbildung für globale Befähigte -Am Beispiel des J. P. Hebels -

독어교육 | 54 | 54 | 2012 | 독일어와문학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포리아적 변증술에 대한 이해

Zum Verständnis für die aporetische Dialektik des Aristoteles

중세철학 | 16 | 2010 |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포리아적 변증술에 대한 이해

Zum Verständnis für die aporetische Dialektik des Aristoteles

중세철학 | | 16 | 2010 | 철학

말하기 교육,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서울대학교 <말하기> 강좌 공통강의안을 중심으로

Was lehrt man über Rede und wie lehrt man es? -Unter Berücksichtigung des Lehrplans für Redeunterricht der Seoul Nationl Universität

수사학 | 16 | 2012 | 기타인문학

키케로의 『웅변가론』에 나타난 교육이론

Educational Theory in Cicero’s De Oratore

교육철학연구 | 33 | 4 | 2011 | 교육학

인문교양교육과 독서토론

A Liberal Arts Education of Humanities and Reading Discussion

교양교육연구 | 5 | 1 | 2011 | 학제간연구

공학인 대상 ‘공적 말하기’ 강의내용 개발 연구 (I) - <프레젠테이션과 토론>을 중심으로 -

Developing of Lecture Contents for Engineers (I) : with Special Reference to 《Presentation and Debate Skills》

수사학 | 14 | 2011 | 기타인문학

사이비과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성별과 종교 유형을 중심으로

Undergraduates' Perception of Pseudoscience according to Gender and Religion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4 | 2011 | 교과교육학

대학생들의 읽기 토론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 활용의 효과

현대영어교육 | 11 | 3 | 2010 | 영어교육

대학생들의 읽기 토론 수업에서 블렌디드 러닝 활용의 효과

현대영어교육 | 11 | 3 | 2010 | 영어교육

고등학교 국어과 토론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에 대한 사적 고찰

A Diachronic Investigation on the Reflected Aspect of Debate Curriculum in a High School Textbooks

국어교육학연구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숙의(deliberation) 관점에서 본 인터넷 토론 게시판과 글 분석:의견 조정성 예측을 위한 다수준모델(multi-level model) 검증

An Analysis of Internet Discussion Boards and Messages in Terms of Deliberative Democracy:A Multi-Level Approach to Predict Opinion Co-ordination

한국언론학보 | 56 | 2 | 2012 | 신문방송학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토론 활성화 방안 도출

A study on the strategies to facilitate debate in smart-learning environment

학습과학연구 | 5 | 1 | 2011 | 교육학

비판적 사고의 개발에 대한 논의

On the Critical Thinking as a Curriculum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논증활동으로서 토론과 수사학

Debate and Rhetoric for Argument Activity

서강인문논총 | 28 | 2010 | 기타인문학

논증활동으로서 토론과 수사학

Debate and Rhetoric for Argument Activity

서강인문논총 | | 28 | 2010 | 기타인문학

토론의 반박 전략

The contradictory strategy based on an opponent’s state of affairs in a debate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토론의 반박 전략

The contradictory strategy based on an opponent’s state of affairs in a debate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바람직한 토론문화를 위한 토론대회의 패러다임 전환 제안

Proposal of Paradigm Shift on Debate Tournament for Desirable Debate Culture

한국소통학보 | 14 | 2010 | 휴먼커뮤니케이션

바람직한 토론문화를 위한 토론대회의 패러다임 전환 제안

Proposal of Paradigm Shift on Debate Tournament for Desirable Debate Culture

한국소통학보 | | 14 | 2010 | 휴먼커뮤니케이션

프레임(Frame)을 활용한 교차토론 방법 연구

The Study of Corss-Examination Debate Using the Frame Theory

화법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한문과 수업모형

Student-centered class model for Chinese Literature

漢文敎育硏究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한문과 수업모형

Student-centered class model for Chinese Literature

漢文敎育硏究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읽기·토론·쓰기’ 통합 교육의 효율성 제고 - 『명저읽기와 글쓰기』 강좌를 통해서 -

The Plans of Heightening Efficiency of Integrative Education of ‘Reading·Discussion·Writing’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논쟁형’ 독서토론 방식을 활용한 대학 독서토론 교육의 구조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d Way of the Education of Reading and Debate at University Utilizing Reading debate Model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학글쓰기 교육과 인문학 지평의 확장 - 숙명여자대학교 글쓰기 교육사를 중심으로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The Extension of Humanities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개화기 연설의 ‘근대적 말하기’ 형성과정 연구

A study on process of establishing modern speaking in the Kaewhagy's speech

시학과 언어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창의적 지성을 위한 중학교 철학 교육방법

Teaching philosophy for creative intelligence in Korean public middle schools: teaching models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토론을 활용한 작문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시론

An Essay on Efficiency of Writing Instruction by Using a Debate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토론을 활용한 작문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시론

An Essay on Efficiency of Writing Instruction by Using a Debate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반론하기'의 전략과 언어 표현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and Language Expressions of Counterargument for Korean Learners

한국언어문화학 | 8 | 2 | 2011 | 한국어교육학

아카데미 토론 평가에 대한 재고찰 - 토론승패와 설득은 일치하는가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debate performance and persuasion ability in Academic debate

수사학 | 14 | 2011 | 기타인문학

배심원 토론 수업의 교육적 효과

Effects of Jury Debate as a Classroom Debate Instruction

교육연구 | 50 | 2011 | 교과교육학

고등학교 토론 단원 교수ㆍ학습의 비판적 분석

A Critical Analysis of the debate unit in the 10th grade textbook

교사교육연구 | 51 | 2 | 2012 | 교사교육

토론의 논증 방식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Rhetorical Reflection on the Method of Argument in Debate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토론의 논증 방식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Rhetorical Reflection on the Method of Argument in Debate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토론 중심 고교 화법 교육 개선 방안 연구

Present Condition of Speech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Solution StudyAb

화법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회과 토론(debate) 수업의 실제와 과제

Debate Methods in the Social Studies: Implementations and Suggestions

사회과교육연구 | 18 | 4 | 2011 | 사회교육학

토론의 논거 발견과 수사학의 토포스 - 아리스토텔레스의 토포스를 중심으로-

A Basis of an Argument in Debate and Topos in Rhetoric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교육토론의 내적 원리 연구 -교육토론 모형을 활용한 대학 토론 교육의 구조화 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rual Principles Academaic Debate - A Centering on the Structured Plan of Debate Eduacation at University Utilizing Sookmyung Debate Model-

시학과 언어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툴민 논증 모형의 사용에 대하여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On the Uses of Toulmin's Model of Argument: With a Focus on Debate Class.

범한철학 | 66 | 3 | 2012 | 철학

TV 시사 토론에 나타나는 사회자와 토론자의 상호작용 양상

The Modality of Facilitator and Panel Interaction on TV Current Affairs Debates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TV 시사 토론에 나타나는 사회자와 토론자의 상호작용 양상

The Modality of Facilitator and Panel Interaction on TV Current Affairs Debates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