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적 민주주의

연구분야 : B0201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이론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921

한자 : 節次的民主主義
영어 : procedural democracy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타협 [ 妥協 ]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비판 () [ 批判 ]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토론 () [ 討論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민주주의 () [ 民主主義 ]

RT (관련어)

관련 학문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비교 정치학 [ 比較政治學 ]

헌법재판소 미디어법 관련 권한쟁의심판사건 결정의 헌법적 문제점

Constitutional Issues in the Decision on the Media Acts' Passage in Congress by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법과사회 | 38 | 2010 | 법학

헌법재판소 미디어법 관련 권한쟁의심판사건 결정의 헌법적 문제점

Constitutional Issues in the Decision on the Media Acts' Passage in Congress by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법과사회 | | 38 | 2010 | 법학

다문화사회의 민주주의와 정치교육의 방향 탐색

The Direction of Democracy and Politic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다문화사회의 민주주의와 정치교육의 방향 탐색

The Direction of Democracy and Politic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탈냉전이후 미국 민주주의 원조금의 절차적 민주주의 증진효과에 대한 경험적 분석

Aid Policy in Transition in the post-Cold War era? The Link between U.S. Democracy Assistance and Procedural Democratization

미국학 논집 | 43 | 3 | 2011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