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섭 비판-칸트의 ‘이성비판’의 관점에서
Critique of Consillience-In the perspective of ‘Critique of pure reason’
인문과학연구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니체의 역사이해
Nietzsches Historieverstehen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1930년대 말 <신협(新協)>의 『춘향전』공연 관련 좌담회 연구
A Study on the Round-table Discussion About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by the Theater Group, “Sin-hyeop” in late 1930s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말 <신협(新協)>의 『춘향전』공연 관련 좌담회 연구
A Study on the Round-table Discussion About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by the Theater Group, “Sin-hyeop” in late 1930s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문산문교육연구의 동향과 과제
The project and trend of Chinese prose educational research
漢文敎育硏究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숙의적(deliberative) 인터넷 토론 모델의 검증: 비판적 읽기와 수렴적 쓰기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eliberative Internet Discussion Model: Focus on Critical Reading and Convergent Writi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9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세계 개시로서의 진리와 해석 - 가다머의 예술론을 중심으로 -
Wahrheit als Welterschließung und Auslegung - Auf die Gadamersche Kunsttheorie eingestellt -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
대도시의 환등상과 배회자: 도취와 비판
Großstädtische Phantasmagorie und Flaneur: Rausch und Kritik
독일언어문학 |
50 |
2010 |
독일어와문학
대도시의 환등상과 배회자: 도취와 비판
Großstädtische Phantasmagorie und Flaneur: Rausch und Kritik
독일언어문학 |
|
50 |
2010 |
독일어와문학
상부지휘구조 개편 비판 논리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ritical Logic on the Reform of Top Military Command Structure
국방정책연구 |
27 |
2 |
2011 |
정책학
아도르노 미학의 진리내용(Wahrheitsgehalt)에 관하여
Zum Wahrheitsgehalt in Adornos Ästhetik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현대 폭력론에 관한 연구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론」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를 중심으로
A Study of Modern Violence Theory ― Derrida's Reading of Walter Benjamin's “Zur Kritik der Gewalt”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현대 폭력론에 관한 연구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론」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를 중심으로
A Study of Modern Violence Theory ― Derrida's Reading of Walter Benjamin's “Zur Kritik der Gewalt”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비판적 사회철학과 도덕교육
Critical Theory of Society and Moral Education
초등도덕교육 |
37 |
2011 |
윤리교육학
‘존재’ 개념의 해석학적 의미와 학문적 역할 -가다머-하버마스 논쟁을 배경으로-
Die Hermeneutische Bedeutung und Wissenschaftliche Rolle des Seinsbegriffes
현대유럽철학연구 |
26 |
2011 |
서양철학
교육과 철학의 변화와 그 방향
The change of education and philosophy and their way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교육과 철학의 변화와 그 방향
The change of education and philosophy and their way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莊子>의 感性的 사유방식
<莊子>的感性思惟方式
동양철학연구 |
62 |
2010 |
철학
<莊子>의 感性的 사유방식
<莊子>的感性思惟方式
동양철학연구 |
|
62 |
2010 |
철학
하버마스의 변증법적 사회이론과 판넨베르크의 보편사적 해석학
J. Habermas’ Dialectical Social Theory and W. Pannenberg’s Universal-Historical Hermeneutics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6 |
2011 |
기독교신학
周敦頤 思想 批判 -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
周敦頤 思想 批判
철학탐구 |
28 |
2010 |
철학
周敦頤 思想 批判 -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
周敦頤 思想 批判
철학탐구 |
28 |
|
2010 |
철학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의 사례와 교육적 함의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미술교육논총 |
25 |
2 |
2011 |
미술
비판적 사고의 개발에 대한 논의
On the Critical Thinking as a Curriculum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for Reading History Textbook Critically
역사교육연구 |
11 |
2010 |
역사교육
비판적 역사교과서 읽기를 위한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for Reading History Textbook Critically
역사교육연구 |
|
11 |
2010 |
역사교육
비판이론에 나타난 ‘비판’ 개념의 의미 연구
Eine Untersuchung des Begriffs der ‘Kritik’ in der Kritischen Theorie
가톨릭철학 |
18 |
2012 |
철학
올바른 실천(orthopraxis) 우위의 비판적 신학을 위하여 -쉴레벡스의 실천적 비판 신학 연구
A Study of E. Schillebeeckx’s Critical Theology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3 |
2011 |
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