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왕묘

연구분야 : A041100 인문학 > 종교학 > 무(巫)교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43

한자 : 關王廟

y07-03 건축물/시설물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관제묘 [ 關帝廟 ]

UF (비우선어)

 

 

노야묘 [ 老爺廟 ]

UF (비우선어)

 

 

무묘 [ 武廟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 廟 ]

N1:종류

hasKind (종류)

 

 

서관왕묘 [ 西關王廟 ]

hasKind (종류)

 

 

북관왕묘 [ 北關王廟 ]

hasKind (종류)

 

 

남관왕묘 [ 南關王廟 ]

hasKind (종류)

 

 

동관왕묘 [ 東關王廟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관우 [ 關羽 ]

종교정책을 통해 본 선조 대의 종교지형 변화 ― 불교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about changing of religious terrain in Sun-Jo's season - concentating on buddhism policies

종교연구 | 62 | 2011 | 종교학

조선 후기 通信使의 關王廟 방문과 그 의미

The visit of Joseon Tongsinsa to GwanWang Shrine(關王廟) and its meaning

국제어문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通信使의 關王廟 방문과 그 의미

The visit of Joseon Tongsinsa to GwanWang Shrine(關王廟) and its meaning

국제어문 |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朝文集에 나타난 「關廟」 關聯 詩文의 樣相과 그 意味

Some Aspects of Prose & Poetry about Kwanmyo(關廟) in Private Anthologies in Choseon Dynasty & their Meaning

영주어문 | 22 | 2011 | 기타국문학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

Representation and performing arts plan on the ritual of Gwanwangmyo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