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교과

연구분야 : A1104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문교육
B121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511

한자 : 漢文敎科
영어 : Classical Chinese subject
동의어(UF) : 한문과(漢文科)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선택 교과 () [ 選擇敎科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재량 교과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한문과 교육과정 () [ 漢文科敎育課程 ]

중등학교 한문교과의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試論 - 儒敎經典 활용을 중심으로 -

为开发中等学校汉文课程教授・学习方法之試論-以儒敎經典的运用为中心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등학교 한문교과의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試論 - 儒敎經典 활용을 중심으로 -

为开发中等学校汉文课程教授・学习方法之試論-以儒敎經典的运用为中心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文敎科 散文敎育에 있어서美學 原理의 適用과 實踐 方案 硏究

The study on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for educating the Classical Chinese prose : Its Rationale Implementation and the applying aesthetics principle

동방한문학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