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기 근대 학교의 소풍ㆍ수학여행의 도입과 확산
Introduction and Spreading of Modern Schools’ Picnic and Excursion in Korea’s Imperialistic Er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0 |
2012 |
역사학
청소년관광 유형별 관광제약 차이 분석
A Study on Differences Analysis among the Adolescents Tourism Constraints by Travel Types
관광연구논총 |
22 |
1 |
2010 |
기타관광학
청소년관광 유형별 관광제약 차이 분석
A Study on Differences Analysis among the Adolescents Tourism Constraints by Travel Types
관광연구논총 |
22 |
1 |
2010 |
기타관광학
기행문에 나타난 제도와 실감의 거리, 근대문학
The distance between system and real experience feelings in travel essay, Korean Modern Literature
어문론총 |
54 |
2011 |
한국어와문학
수학여행의 심리ㆍ교육적 효과분석
An Analysis o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Effects of School Excursion
관광연구 |
27 |
2 |
2012 |
관광학일반
국내수학여행 관광지 선택속성 IPA연구: 교사와 학생의 인식조사를 통해
A Study of IPA on Attractions Selection Property for Educational Travel: Through Research on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Students
관광레저연구 |
23 |
8 |
2011 |
관광학
수학여행의 만족도가 국내관광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Travel on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n Domestic Tourism
호텔관광연구 |
14 |
2 |
2012 |
호텔/외식산업경영
1920년대 수학여행의 실태와 사회적 인식
The realities of a school trip in 1920s and Social recogni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1930년대 일본인의 만주 수학여행 - 네트워크와 제국의식 -
School excursions to Manchuria in 1930s Japan: Focused on the trip network and imperial consciousness
동북아역사논총 |
3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