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전달

연구분야 : A030402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고대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696

STNet ID : 9001586

한자 : 間接 傳達
영어 : indirect communication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관련 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변증법 [ 辨證法 ]

키르케고아에서 도덕 환경적 요소로서 노래 부르기

Singing as Moral and Environmental Factor in S. Kierkegaard

윤리교육연구 | 23 | 2010 | 윤리교육학

키르케고아에서 도덕 환경적 요소로서 노래 부르기

Singing as Moral and Environmental Factor in S. Kierkegaard

윤리교육연구 | | 23 | 2010 | 윤리교육학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 기능의 차원과 정신의 차원

What is the content of Korean Dance Education? - The Technical and the Spiritual

무용역사기록학 | 24 | 2012 | 무용

키에르케고르의 주관적 지식과 도덕교육

Kierkegaard’s Subjective Knowledge and its implication to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3 | 1 | 2011 | 교육학

키에르케고르의 자아이론: 자아실현의 계기로서의 절망

Kierkegaard‘s Theory of Self : Despair as a Moment of Self-Realization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소크라테스와 키에르케고르: 교육원리로서의 아이로니

Socrates and Kierkegaard: Irony as an Educational Principle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키르케고아에서 실존적 변형(metamorphosis)으로서 용서(容恕)의 간접전달

Indirect Communication of Forgiving as Existential Metamorphosis in S. Kierkegaard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교과교육과 간접전달

Teaching School Subjects and Indirect Communication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