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 교육

연구분야 : B121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1

STNet ID : 1000132

한자 : 敎科敎育
영어 : subject matter education

b01-02 교육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 () [ 敎育 ]

isKindOf (상위 유형)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중핵 교육과정 () [ 中核敎育課程 ]

N1:종류

hasKind (종류)

 

 

음악과 교육

hasKind (종류)

 

 

영어과 교육 ()

hasKind (종류)

 

 

역사과 교육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수학과 교육 [ 數學科敎育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사회과 교육 [ 社會科敎育 ]

hasKind (종류)

 

 

미술과 교육 () [ 美術科敎育 ]

hasKind (종류)

 

 

독어과 교육 ()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도덕과 교육 [ 道德科敎育 ]

hasKind (종류)

 

 

국어과 교육 [ 國語科敎育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Y99 기타 인스턴스명 기타 인스턴스명

교과 () [ 敎科 ]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e02-02 패턴 패턴

문제해결과정 () [ 問題解決過程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과담임제 [ 敎科擔任制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과 전담제 [ 敎科專擔制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과 교육학 [ 敎科敎育學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증거 기반 교수 () [ 證據基盤敎授 ]

도덕적 창의성 개념의 도덕 심리학적 배경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oral Creativity Concept Based on the Theories of the Moral Psycholog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학교폭력 연구 방법론에 관한 대안적 고찰:사회-생태학적 모델의 관점을 중심으로

Alternative Review on Research Methods on School violence: in View of Social Ecological Model

도덕윤리과교육 | 35 | 2012 | 교육학

아퀴나스 존재론의 교육학적 함의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Aquinas' Ontology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아퀴나스 존재론의 교육학적 함의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Aquinas' Ontology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근대 계몽기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향

The Trends relating to Studies of Textbook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Times in Korea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양자심리학과 이야기 은유: 교과 기반 자기성찰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논리

Quantum Mind and Narrative Metaphor: Developing the Self-Reflective Practice Based on Subject Matter in the Classroom

교육심리연구 | 25 | 4 | 2011 | 교육학

학문과 학교교과의 차이 : 교육과정개발에의 함의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academic discipline and school subject: Its implications on curriculum development

교육과정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학문과 학교교과의 차이 : 교육과정개발에의 함의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academic discipline and school subject: Its implications on curriculum development

교육과정연구 | 28 | 3 | 2010 | 교육학

교육철학 방법으로서의 프래그머티즘 재음미: 프랙티스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Pragmatism as a Method of Philosophy of Education: Connecting with the Concept of ‘Practice’

교육사상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교육철학 방법으로서의 프래그머티즘 재음미: 프랙티스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Pragmatism as a Method of Philosophy of Education: Connecting with the Concept of ‘Practice’

교육사상연구 | 24 | 1 | 2010 | 교육학

과정중심 쓰기 교수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cess-Based Writing Instruction on Wri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정서·행동장애연구 | 26 | 3 | 2010 | 특수교육

과정중심 쓰기 교수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cess-Based Writing Instruction on Writing Ability of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정서·행동장애연구 | 26 | 3 | 2010 | 특수교육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Social Studies Content-Area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특수교육학연구 | 47 | 2 | 2012 | 교육학

종립학교 종교교육의 다원적 접근

A Pluralistic Approach to Religious Education in a Mission Schools

종교교육학연구 | 34 | 2010 | 종교학

종립학교 종교교육의 다원적 접근

A Pluralistic Approach to Religious Education in a Mission Schools

종교교육학연구 | 34 | | 2010 | 종교학

도덕적 문제 인식 유도를 위한인지 부조화 발문 전략

Questioning Strategies of Cognitive Dissonance for Inducing the Recognition of Moral Problem

윤리교육연구 | 26 | 2011 | 윤리교육학

정보격차해소 인식제고를 위한 초·중등 교육과정 개발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olving the Recognition of Digital Divid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중등교육연구 | 58 | 1 | 2010 | 교육학

정보격차해소 인식제고를 위한 초·중등 교육과정 개발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Solving the Recognition of Digital Divid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중등교육연구 | 58 | 1 | 2010 | 교육학

중복중증장애아동을 위한 교과교육의 방향성과 원리탐색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n the Directivity and Principle of Subject Education for Multiple and Severe Handicapped Children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 53 | 4 | 2010 | 교육학

중복중증장애아동을 위한 교과교육의 방향성과 원리탐색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n the Directivity and Principle of Subject Education for Multiple and Severe Handicapped Children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 53 | 4 | 2010 | 교육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practice:Based on the case of Québec, Canada

교육과정연구 | 29 | 1 | 2011 | 교육학

중등특수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Subject Instruction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특수교육학연구 | 45 | 4 | 2011 | 교육학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Speci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특수아동교육연구 | 13 | 3 | 2011 | 교육학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을 중심으로

Evaluating Evidence-Based Interventions in Subject Area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1 | 2012 | 교육학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a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0 | 1 | 2011 | 기타사회과학

사회교과 통합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식당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ubject Integration-bas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on Performance on Restaurant Use Skills for Middle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3 | 3 | 2012 | 교육학

교과교육의 의미: 칸트와 헤겔의 관점

The Meaning of School Subjec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Kant and Hegel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교과교육의 의미: 칸트와 헤겔의 관점

The Meaning of School Subjec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Kant and Hegel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초등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ality and Improvement of Teach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2 | 2012 | 교육학

초등 도덕과 교사 교육에 있어서 교과 교육학적 지식 형성의 문제

Issues on Knowledg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Preparing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achers

초등도덕교육 | 37 | 2011 | 윤리교육학

일반학교 중등교사의 통합학급 수업에서의 교수적 수정 실천정도 분석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inclusive classroom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3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