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낙인

연구분야 : E150203 의약학 > 정신과학 > 정신분석학/분석심리학 > 자기심리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242

한자 : 自己烙印
영어 : self-stigma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낙인 이론 [ 烙印理論 ]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사회적 낙인 [ 社會的烙印 ]

RT (관련어)

 

x03-05-03 효과/영향 효과/영향

낙인 효과 [ 烙印效果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자기 가치감

hasOpposition (대항/억제)

 

c02-01 감정 감정

자아존중감 () [ 自我尊重感 ]

교사의 낙인수준과 학생에 대한 상담태도간의 관계에서 교사자신의 상담태도의 역할

The effect of teachers' personal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regar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teachers' attitudes of students' usage of mental health services

상담학연구 | 12 | 3 | 2011 | 교육학

차별경험과 자기 낙인이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self stigma on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사회과학연구 | 27 | 1 | 2011 | 기타사회과학

낙인과 자존감,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Stigma, Self-Esteem, and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2 | 3 | 2010 | 심리과학

낙인과 자존감,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간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Stigma, Self-Esteem, and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2 | 3 | 2010 | 심리과학

군인집단과 대학생집단에서 낙인과 자존감, 전문적 도움추구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 among Stigma, Self-Esteem, an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Male College Students and Soldiers

상담학연구 | 12 | 4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