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끝 :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The End of the World: Disaster imagination and ideological symptoms in the recent fiction of Korea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비극으로서의 「욥기」 다시 읽기 —욥의 고난과 신의 자유를 중심으로—
Rereading of Book of Job as a Tragedy: With Focus on Job’s Suffering and God’s Limitless Freedom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20 |
2 |
2011 |
영어와문학
소월 시에 나타난 시간성의 의미 - 「먼 후일」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Time in Kim, So Wol's Poetry
우리말글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베르그손 <지속> 이론의 근본적인 변화: 시간 구성에 있어서 미래의 주도적 역할
A Radical Change of Bergson’s Theory of Duration: The Role of Future in the Constitution of Time
철학연구 |
95 |
2011 |
철학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n the Stud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니피앙의 미래: 『구운몽』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테제
The Future of Signifier: Reading Guunmong through Lacan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미당 시의 문둥이 이미지와 그 변용 양상의 의미 해석
An Analysis on Midang's Poetry, Especially on Mundungee Image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당 시의 문둥이 이미지와 그 변용 양상의 의미 해석
An Analysis on Midang's Poetry, Especially on Mundungee Image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無記[avyākata]와 念[sati]의 관계성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of Sati in Relation to Avyākata
禪文化硏究 |
8 |
2010 |
기타불교학
無記[avyākata]와 念[sati]의 관계성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of Sati in Relation to Avyākata
禪文化硏究 |
|
8 |
2010 |
기타불교학
융합시대의 미디어 정책- 목표와 방향
Toward a New Media Policy in the Age of Convergence
담론201 |
14 |
3 |
2011 |
사회학
China, the Nuclear Problem, and Prospect of the Peninsular: Persistent Dilemmas with a Promising Future
중국, 핵문제, 그리고 한반도의 전망 : 약속된 장래와 영구적 딜레마
Journal of China Studies |
8 |
2010 |
중국
China, the Nuclear Problem, and Prospect of the Peninsular: Persistent Dilemmas with a Promising Future
중국, 핵문제, 그리고 한반도의 전망 : 약속된 장래와 영구적 딜레마
Journal of China Studies |
|
8 |
2010 |
중국
영어 조동사 shall의 소멸에 대하여
On the Obsolescence of English Auxiliary Shall
현대문법연구 |
64 |
2011 |
영어와문학
藝術家의 自我 認識 - 『花蛇集』 시절의 未堂
A Self-consciousness of Artist - a case of Midang in 『Hwasajip』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藝術家의 自我 認識 - 『花蛇集』 시절의 未堂
A Self-consciousness of Artist - a case of Midang in 『Hwasajip』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헤겔의 논리학에서 ‘철학의 너무 늦게 오지 않음’의 단초 -과거성과 미래성 문제에 대한 또 다른 쟁점들-
Other Issues about the Past-Future-Problem in Hegel’s Science of Logic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클락 피녹의 열린신학
Clark H. Pinnock’s Openness Theology
성경과 신학 |
58 |
2011 |
기독교신학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미래 전망과 과제
The Prospect and Task of KSCRE in the Future
기독교교육 논총 |
27 |
2011 |
기독교교육
교육문법을 위한 ‘will’과 ‘be going to’의 비교
‘Will’ and ‘Be going to’ for Educational Grammar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교육문법을 위한 ‘will’과 ‘be going to’의 비교
‘Will’ and ‘Be going to’ for Educational Grammar
영어영문학연구 |
52 |
3 |
2010 |
영어와문학
서정주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the Meaning of Sea in Poems of Seo Jeong-Ju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시에 나타난 ‘바다’의 의미 변화
A Study on Changes in the Meaning of Sea in Poems of Seo Jeong-Ju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인식 비교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Korea and China on Promising Futuristic Technologies
유라시아연구 |
9 |
3 |
2012 |
기타사회과학
미래연구 방법으로서의 “동향학(Trendology)”
‘Trendology’ as a New Method of Future Research
사회과학논집 |
41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미래연구 방법으로서의 “동향학(Trendology)”
‘Trendology’ as a New Method of Future Research
사회과학논집 |
41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