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문식성

연구분야 : B1212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국어교육학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8967

한자 : 批判的文識性
영어 : critical literacy
기타 : 비판적 리터러시(批判的--)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문식성 () [ 文識性 ]

N1:종류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미디어 리터러시 () [Media Literacy]

R1:개념적

RT_X (관련어►)

관련 개념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기능적 문식성 () [ 機能的文識性 ]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and Language-culture based on Media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and Language-culture based on Media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Direction for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Direction for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인터넷 신문 읽기와 댓글 쓰기 교수-학습 방안

Instructing-Learning Model Through Reading Internet News and Writing Replie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인터넷 신문 읽기와 댓글 쓰기 교수-학습 방안

Instructing-Learning Model Through Reading Internet News and Writing Replie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Adolescent Readers in the Digital Age and Critical Reading

독서연구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독자와 비판적 읽기

Adolescent Readers in the Digital Age and Critical Reading

독서연구 |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비판적 읽기’ 범주 설정 및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The Study on Categorizing and Systematizing Critical Reading as the Educational Contents

독서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작문 연구의 국제 동향 분석과 대학작문교육을 위한 시사점

Analysis of International Trends in College Composition and Suggestions for Korean College Composition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과 교과서에서의 비판적 문식성 수용 양상

An Aspect in Acceptance of Critical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