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식성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859

STNet ID : 1002803

한자 : 文識性
영어 : literacy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리터러시 [literacy]

UF (비우선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문해력 () [ 文解力 ]

N1:종류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기초 문식성 () [ 基礎文識性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비판적 문식성 () [ 批判的文識性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고전 리터러시 [ 古典-- ]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고전 문학 리터러시 [ 古典文學-- ]

hasKind (종류)

 

 

성인 문식성 () [ 成人文識性 ]

hasKind (종류)

 

 

문학 문식성 () [ 文學文識性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멀티 리터러시 [multi literacy]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디지털 리터러시 () [Digital Literacy]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미디어 리터러시 () [Media Literacy]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읽기 능력 () [ --能力 ]

hasComponent (구성요소)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쓰기 능력 [ --能力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문해 교육 () [ 文解敎育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부재

 

문맹자 [ 文盲者 ]

필담의 문화사 ― 조선후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한 방법

Cultural History of Written Conversation ―An East Asian Form of Cultural Exchange for Late Joseon Intellectuals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설 재창작 활동의 구상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a Novel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설 재창작 활동의 구상

A Study on the Reproduction of a Novel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기유학과 문식성 발달 지체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Early Study-Abroad and Delay in Literacy Development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초등학교 漢文 교과서 單元 구성의原理와 方案

The Suggestion on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s' 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초등학교 漢文 교과서 單元 구성의原理와 方案

The Suggestion on the Classical Chinese Textbooks' 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漢字漢文敎育 | 1 | 25 | 2010 | 한문교육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K-DRS)의 2차 규준 연구

An Additional Normative Study of theKorean-Dementia Rating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29 | 2 | 2010 | 심리과학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K-DRS)의 2차 규준 연구

An Additional Normative Study of theKorean-Dementia Rating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29 | 2 | 2010 | 심리과학

진로 교육의 관점에서 본 국어과 교육

Career education perspectiv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재고

Re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재고

Re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改定 敎育課程 ‘漢文’의 現場 適用 方案 硏究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Sino-Korean'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改定 敎育課程 ‘漢文’의 現場 適用 方案 硏究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Sino-Korean'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자기소개서 쓰기와 대학생의 정체성 -교육적 함의(含意)를 중심으로-

On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Writing in Self-introduction Letter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Direction for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Direction for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영어 보정교육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medi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영어교육연구 | 22 | 2 | 2010 | 영어와문학

초등영어 보정교육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media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영어교육연구 | 22 | 2 | 2010 | 영어와문학

15세기 상층여성의 문식성(literacy)과 읽기교재 『내훈』

A Textbook for Reading, Naehun(內訓) and Women’s Literacy in the 15th Centu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15세기 상층여성의 문식성(literacy)과 읽기교재 『내훈』

A Textbook for Reading, Naehun(內訓) and Women’s Literacy in the 15th Centu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학교 영어 도서관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English library

영어어문교육 | 16 | 3 | 2010 | 영어와문학

학교 영어 도서관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English library

영어어문교육 | 16 | 3 | 2010 | 영어와문학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A Study on the literacy of underachievers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2 | 2012 | 교육학

도시와 농촌 아동의 인지 언어적 기술과 문식성 · 수학 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 of cognitive-linguistic skills with literacy and mathematics skills among children living i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유아교육연구 | 32 | 3 | 2012 | 교육학

초기 쓰기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과제 -국내․외 2000년부터 2011년 연구를 중심으로-

Recent trend of Research on beginning writing and future task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from 2000 to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2 | 2 | 2012 | 교과교육학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평가 방법 연구

A literacy assessment’ method o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평가 방법 연구

A literacy assessment’ method o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유아를 위한 멀티리터러시 교육 내용과 방법 탐색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of Multiliteracies for Young Children

한국영유아보육학 | 71 | 2012 | 사회복지학

국어과 교과서에서의 비판적 문식성 수용 양상

An Aspect in Acceptance of Critical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4 | 2011 | 국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의 국어과 ICT 문식성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ICT Literac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43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의 국어과 ICT 문식성 교육 연구

A Study on the ICT Literac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rts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 43 | 2010 | 국어교육

수업에 드러난 교사의 문식성 인식과 학생의 정체성 협상 양상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심화 수업 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Aspects of teacher's literacy perception and students' identity negotiation in literacy instruction -Centered on a case of Korean teaching practicum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한국초등국어교육 | 43 | 2010 | 국어교육

수업에 드러난 교사의 문식성 인식과 학생의 정체성 협상 양상 -예비 초등교사의 국어과 심화 수업 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Aspects of teacher's literacy perception and students' identity negotiation in literacy instruction -Centered on a case of Korean teaching practicum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한국초등국어교육 | | 43 | 2010 | 국어교육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Literacy education for early grades of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Literacy education for early grades of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