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문식성

연구분야 : B121102 사회과학 > 교육학 > 분야교육 > 초등교육
B121203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국어교육학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1719

STNet ID : 9001516

한자 : 基礎文識性
영어 : beginning literacy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문식성 () [ 文識性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글 교육 [ --敎育 ]

RT (관련어)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다문화 가정 아동 [ 多文化家庭兒童 ]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개미[ㅐ]와 베짱이[ㅔ]’가르치기-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of Fundamental Literacy in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of ‘Kaemi[æ]’ and ‘Bejjangi[e]’-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개미[ㅐ]와 베짱이[ㅔ]’가르치기-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of Fundamental Literacy in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of ‘Kaemi[æ]’ and ‘Bejjangi[e]’-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기초 문식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기초 문식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