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음화

연구분야 : A1101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음운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449

한자 : 兩脣音化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8-01 신체(부분체) 신체(부분체)

조음위치 [ 調音位置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표준 발음 () [ 標準發音 ]

한국어의 위치동화에 대한 분석 -적합도 설문평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Korean Place Assimilation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의 위치동화에 대한 분석 -적합도 설문평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Korean Place Assimilation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음위치동화에 대한 주관적 평가

A Study of Perceptual Analysis on Korean Place Assimilation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3 | 2 | 2012 | 교육학

양순음화의 발달

Development of Bilabialization(labialization).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순음화의 발달

Development of Bilabialization(labialization).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