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발음

연구분야 : A11011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정책론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747

STNet ID : 1004919

한자 : 標準發音
영어 : standard pronunciation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비표준 발음 () [ 非標準發音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발음 [ 發音 ]

R1:개념적

RT (관련어)

 

e02-04 표준/규격 표준/규격
e02-04 표준/규격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표준발음법 [ 標準發音法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c03-01 상태/상황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전설 모음화 () [ 前舌母音化 ]

hasOpposition (대항/억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양순음화 [ 兩脣音化 ]

한국어 교재의 발음기호 제시 방법 고찰 —기초 단계에서의 자모 ‘ㅟ, ㅚ, ㅢ’ 발음기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ggestion for the Phonetic Symbols of Korean Alphabets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학교 문법의 ‘음운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Phonemic Alternation of School Grammar

언어학 연구 | 17 | 2010 | 기타언어학

학교 문법의 ‘음운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Phonemic Alternation of School Grammar

언어학 연구 | | 17 | 2010 | 기타언어학

양순음화의 발달

Development of Bilabialization(labialization).

한국어학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순음화의 발달

Development of Bilabialization(labialization).

한국어학 | 47 |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국어의 어중 경음화 약화 현상

A Study on the Weakening Phenomenon of Word-mid Glottalization Reflected in Modern Korean

한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형태적 구성에 나타나는 겹받침 발음 연구 Ⅰ -표준 발음을 중심으로-

Study I on the Pronunciation of Final Double Consonants in the Morphological Construction -The Case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겨레어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 검정 교과서의 ‘음운 규칙’ 관련 기술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descriptions of "phonological rule" in the Government-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High School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