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 모음화

연구분야 : A1101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음운론(국어학)

클래스 : 상태/상황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455

STNet ID : 9001400

한자 : 前舌母音化
영어 : vowel fronting

c03-01 상태/상황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l 모음 역행 동화

R1:개념적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방언 () [ 方言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표준 발음 () [ 標準發音 ]

19세기 초기 전라 방언 자료 『수운정비회유록』(睡雲亭悲懷遺錄) 연구

A study on “Suunjeongbihoeyurok” reflected Jeolla dialect in the early period of 19th Century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굴절의 음운현상으로 본 충남 방언의 특징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Inflectional Paradigms in Chungnam Dialects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굴절의 음운현상으로 본 충남 방언의 특징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Inflectional Paradigms in Chungnam Dialects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충남방언 ‘X]vst+어요’의 음운론

A phonological Study of ‘X]vst+eoyo(어요)’ in Chungnam Dialect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충남방언 ‘X]vst+어요’의 음운론

A phonological Study of ‘X]vst+eoyo(어요)’ in Chungnam Dialect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설모음화의 발생과 적용 조건

The Origination and Application Condition of Umlaut after Coronal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설모음화의 발생과 적용 조건

The Origination and Application Condition of Umlaut after Coronal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