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

연구분야 : A091000 인문학 > 언어학 > 방언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039

STNet ID : 1001821

한자 : 方言
영어 : dialect
동의어(UF) : 지역어(地域語)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언어변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모음 융합 () [ 母音融合 ]

S:동의

UF (비우선어)

 

 

지리적 방언 [ 地理的方言 ]

UF (비우선어)

 

 

사투리 [ 方言 ]

UF (비우선어)

 

 

지리 방언 [ 地理方言 ]

UF (비우선어)

 

 

지역 언어 [ 地域言語 ]

UF (비우선어)

구별

 

지방어 () [ 地方語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언어변이형 () [ 言語變異形 ]

isKindOf (상위 유형)

 

 

비표준어 [ 非標準語 ]

isKindOf (상위 유형)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말語 () [words]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안동권 방언 [ 安東圈方言 ]

hasKind (종류)

 

 

이라크 방언 [ --方言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국어 방언 () [ 韓國語方言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지역 방언 [ 地域方言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사회 방언 [ 社會方言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방언차 [ 方言差 ]

hasPhenomenon (현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고모음화 [ 高母音化 ]

hasPhenomenon (현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c03-01 상태/상황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전설 모음화 () [ 前舌母音化 ]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휘사 () [ 詞彙史 ]

RT (관련어)

 

 

방언 통역 [ 方言通譯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지역 언어 교육 [ 地域言語敎育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동해안 지역 방언 [ 東海岸地域方言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이중언어 상황 () [ 二重言語狀況 ]

RT (관련어)

 

 

지역어 () [ 地域語 ]

RT (관련어)

대응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공통어 [ 共通語 ]

R2:기능적

isAnalyzedBy (분석 방법)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언어적 거리 () [ 言語的距離 ]

isAppliedTo (적용 대상)

 

a01-05-01 인간(재능) 인간(재능)

토박이 화자 () [ 土--話者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e03-02 각국어 각국어

마케도니아어 () [ --語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방언 문학 [ 方言文學 ]

백석 시의 시어에 나타난 모음 첨가현상과 시적 효과

Vowel addition phenomenon in poetic words of Baek-Seok's poetry and poetic effect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戊戌孟夏西內新刊’ 『千字文』 硏究

on Musul Seonae(戊戌 西內) Version of the Cheonjamun(千字文)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의 초기 시와 언어 미학적 태도

Seo, Jeong-ju’s linguistic and aesthetic attitude in the early Poetry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乙巳季冬完山新刊 『千字文』 연구

on Wansan Version of the Cheonjamun

국어사연구 | 12 | 2011 | 국어사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The Western-centric View Reflected on Korean Grammar Formative Period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법 형성기에 반영된 서구 중심적 관점

The Western-centric View Reflected on Korean Grammar Formative Period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어 차용어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논의

중국어문학지 | 38 | 2012 | 중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개척자』의 텍스트 문제 : 남북한 판본의 문제점 대비 고찰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Text of 『A Pioneer』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개척자』의 텍스트 문제 : 남북한 판본의 문제점 대비 고찰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Text of 『A Pioneer』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상록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Evergeens(상록수)』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상록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Evergeens(상록수)』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향」에서 「조선의 얼굴(朝鮮の顔)」로-현진건의 단편소설의 구축과 일본어 번역

From 「Kohyang」 to 「A Korean face」;The construction of Hyeon Jin-gun's short story and Japanese Translati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탁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The Turbid Stream』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탁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The Turbid Stream』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과 백석의 시어 및 조사(措辭)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Criticism about Poetic Diction and Style Between Kim So Wol and Baek Suk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韓國 古代 文字學과 訓詁學의 發達

The Advance Level of Ancient Korean Graphonomy and Exegetical Studies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韓國 古代 文字學과 訓詁學의 發達

The Advance Level of Ancient Korean Graphonomy and Exegetical Studies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이수복 시 연구

A Study on Lee Su-bok's Poetry

국어국문학 | 157 | 2011 | 한국어와문학

『民俗叢談』 硏究

Research on 『Min Sok Chong Dam: Folklore Collection』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民俗叢談』 硏究

Research on 『Min Sok Chong Dam: Folklore Collection』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백석과 미당의 아동 화자 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Baekseok's and Midang's poems with a child speaker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과 미당의 아동 화자 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Baekseok's and Midang's poems with a child speaker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습 지역이 한국어 억양 습득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reas Where Learners Learn Korean on Korean Language Intonation Acquisition: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of Korean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습 지역이 한국어 억양 습득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reas Where Learners Learn Korean on Korean Language Intonation Acquisition: focusing on Chinese learners of Korean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영랑 방언 의식의 근원 - 모성적 상상력과 모어의 음성성

Mother Language, Things Maternity, Memories of the Earth - around Kim Youngrang's poetry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영랑 방언 의식의 근원 - 모성적 상상력과 모어의 음성성

Mother Language, Things Maternity, Memories of the Earth - around Kim Youngrang's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슬람 이전 시대의 초기 아랍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arly Arabic in the pre-Islamic Period

중동연구 | 30 | 2 | 2011 | 기타지역학

「陰陽對轉」어음 변화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 71 | 2011 | 중국어와문학

河野六郞의 한국어 방언 연구에 대하여

On the Kono Rokuro(河野六郞)'s Study of Korean Dialect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로컬리티

The Locality of Baek Seok's Poetry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울과 전라 지역 성인 화자의 생활어휘 발화 내 모음의 모음공간면적

Vowel Space Characteristicsof Daily-life Words Spoken by Korean Adultsin Seoul and Jeolla Province

언어치료연구 | 19 | 2 | 2010 | 교육학

서울과 전라 지역 성인 화자의 생활어휘 발화 내 모음의 모음공간면적

Vowel Space Characteristicsof Daily-life Words Spoken by Korean Adultsin Seoul and Jeolla Province

언어치료연구 | 19 | 2 | 2010 | 교육학

자막의 번역특징과 유표적 대사의 번역전략: 영화 <위험한 상견례>를 중심으로

Translating Subtitles of Marked Speech in Films Focusing on the Movie ‘Meet the In-laws’

언어과학 | 19 | 2 | 2012 | 언어학

중국 방언 연구의 전통과 현황

The Tradition and its Current Studies on Chinese Dialectology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방언 연구의 전통과 현황

The Tradition and its Current Studies on Chinese Dialectology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탁류>의 방언과 북한어

The Dialects and the North Korean Language of The Turbid Stream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탁류>의 방언과 북한어

The Dialects and the North Korean Language of The Turbid Stream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표준어 규정과 표준어 정책에 대하여 -국어 교육의 측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nd Policy -focusing on the Korean Standard Language education-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영화를 활용하는 중남미 스페인어 교육

스페인어문학 | 59 | 2011 | 기타스페인문학

日本の船舶用語に見られる外来語方言の使用に関する研究 ─三陸南部地域の調査を中心に─

A Study on the Use of Loanwords Concerning Shipping in Japanese Dialects

일본언어문화 | 16 | 2010 | 기타일본어학

日本の船舶用語に見られる外来語方言の使用に関する研究 ─三陸南部地域の調査を中心に─

A Study on the Use of Loanwords Concerning Shipping in Japanese Dialects

일본언어문화 | | 16 | 2010 | 기타일본어학

1930년대 조선어의 위상과 현대시의 형성과정

The topology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processes of modern poetry in 1930s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조선어의 위상과 현대시의 형성과정

The topology of Chosun language and the formation processes of modern poetry in 1930s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역방송의 사투리 사용 내용규제에 대한 연구

Regulation on Dialect of Local Broadcasting Program

언론과학연구 | 11 | 3 | 2011 | 신문방송학

M.П. Пуцилло(뿌찔로) 노-한사전 에 관한 一考

A Study on Historical Meaning of M. Pusillo's Russian-Korean Dictionary

노어노문학 | 23 | 3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方言’의 개념사

The Conceptual History of 'Dialect' in Korean

방언학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의 시어 연구

A Study on Poetic Diction of Baek Seok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충청도 방언과 충청도 문학 —정지용의 「향수」에 쓰인 충청도 방언을 중심으로—

The Chungcheong-do Dialect and The Chungcheong-do Literature - centering around the 「향수」 of Jeong, Jiyong's poem -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방언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and Dialect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방언

『Dongguksinsoksamganghaengsildo』 and Dialect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方言에서 外國語로: 근대 중국의 외국어 인식과 교육

From a Dialect to a Foreign Language: Foreign Language Awareness and Education in Modern China

역사교육 | 123 | 2012 | 역사학

≪國語學≫ 50년 - 음운 연구의 성과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Korean Phonological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國語學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國語學≫ 50년 - 음운 연구의 성과와 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Korean Phonological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國語學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鲁西方言的民俗词汇

중국인문과학 | 47 | 2011 | 중국어와문학

论天津方言亲属称谓语

A Study on Kinship Terms of Tianjin Dialect

Journal of China Studies | 10 | 2011 | 중국

대중음악과 호남 사투리의 감성 정치

Popular Music and the Emotional Politics of Jeolla province dialect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대구․경북지역어 연구 양상과 대구 문화

A Study on the research traits of Daegu-Gyungbook dialect and Daegu culture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표준어의 이념과 ‘사투리’의 탄생 - 1920년대 문학에서 표준어와 방언의 문제 -

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birth of ‘dialect'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論“埋單” - “埋單”與“借音”

The Word of "Maidan"

중국어문논총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論“埋單” - “埋單”與“借音”

The Word of "Maidan"

중국어문논총 |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문학 작품 속의 방언 번역

Translating Dialect in Literary Translation

통번역학연구 | 15 | 2011 | 통역번역학

‘方言’의 개념사

The Conceptual History of 'Dialect' in Korean

방언학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방언형 형성의 통시성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동남방언의 몇몇 부사를 중심으로-

A Phonological Study on the Diachronicity of Dialectal Forms

어문학 | 116 | 2012 | 한국어와문학

방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표현 비교 - 시제 선어말어미를 중심으로

The Comparison the Dialect Expressions of Grammar with Standard Language for Education of Korean for Foreign Learners

인문연구 | 63 | 2011 | 기타인문학

論“埋單” - “埋單”與“借音”

The Word of "Maidan"

중국어문논총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論“埋單” - “埋單”與“借音”

The Word of "Maidan"

중국어문논총 |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揚雄 ≪方言≫의 通語와 공통어

Tongyu in Yangxiong's Fangyan and Common Language

중국어문학 | 59 | 2012 | 중국어와문학

일제 강점기의 방언 의식과 작품 속의 북부 방언

The Consciousness to Dialect and Northern Dialects of Korean Appearing in Literary Works in the Period of Imperial Japanes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방언 (한국어) 교육 방향 -결혼여성이민자 대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dialect education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방언

A Linguistic Perspective on Glossolalia

기독교교육정보 | 33 | 2012 | 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