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음화

연구분야 : A1101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음운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462

한자 :
영어 : glide formation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현상 () [ 音韻現狀 ]

원주지역어의 활용 어간의 활음화와 관련된 음운현상 - 구술발화 자료 중심으로

Glide formation of Wonju dialects in informal utterance of conjugation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2 | 2010 | 기타인문학

원주지역어의 활용 어간의 활음화와 관련된 음운현상 - 구술발화 자료 중심으로

Glide formation of Wonju dialects in informal utterance of conjugation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1 | 2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어 화자의 음장 인식에 관한 연구 - 일본어 장음절핵의 시간성과 관련하여

A Research on the Acquisition of the Length in Korean

배달말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화자의 음장 인식에 관한 연구 - 일본어 장음절핵의 시간성과 관련하여

A Research on the Acquisition of the Length in Korean

배달말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