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현상

연구분야 : A090300 인문학 > 언어학 > 음운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13

STNet ID : 1000704

한자 : 音韻現狀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활음화 [glide formation]

hasKind (종류)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c03-01 상태/상황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모음화 [ 單母音化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경음화 () [ 硬音化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격음화 [ 激音化 ]

hasKind (종류)

 

C03 현상/이슈 현상/이슈
C03 현상/이슈 / E03 언어/각국어 언어/각국어

탈락 () [ 脫落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역행 동화 () [ 逆行同化 ]

hasKind (종류)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동화 () [ 同化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축약 (음운) [ 縮約 ]

R1:개념적

basesOn (근거/토대)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규칙 [ 音韻規則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음운 교육 () [ 音韻敎育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매개 경로 [ 音韻媒介經路 ]

백석 시의 시어에 나타난 모음 첨가현상과 시적 효과

Vowel addition phenomenon in poetic words of Baek-Seok's poetry and poetic effect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프랑스어 발음 학습에 간섭현상으로 작용하는 몇 가지 한국어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

L’apprentissage de la prononciation du français et les phénomènes phonologiques du coréen: étude sur le plan de l’interférence linguistique

프랑스어문교육 | 35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프랑스어 발음 학습에 간섭현상으로 작용하는 몇 가지 한국어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

L’apprentissage de la prononciation du français et les phénomènes phonologiques du coréen: étude sur le plan de l’interférence linguistique

프랑스어문교육 | | 35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가나자와 쇼자부로(金澤庄三郞)의 「朝鮮語發音篇」에 대하여

On the 「Joseoneobaleumpyeon」(朝鮮語發音篇) by Kanazawa Shouzaburou(金澤庄三郞)

한국문화 | 59 | 2012 | 기타인문학

강원 방언과 강원 문학 —문학 작품 속의 강원 방언의 특징—

Regional dialects and literature in Kangwon-do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부산의 지역어와 언어 문화

Regional dialect and Language Culture in Busan region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구어의 음운현상 연구

A Study on Phonological Phenomena of Colloquial Korean

우리말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형태적 구성에 나타나는 겹받침 발음 연구 Ⅰ -표준 발음을 중심으로-

Study I on the Pronunciation of Final Double Consonants in the Morphological Construction -The Case of the Standard Pronunciation-

겨레어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셔유록』에 나타난 강릉 지역어의 특징

On characteristics in Gangnueng regional dialect reflected in 「Syeojurok(셔유록)」

우리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영어 듣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통한 영어 듣기 이해력 향상 방안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and its Implications for EFL Education

외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이중모음 어간의 공시 음운론 -반모음과 음운 현상의 적용 제약-

A Synchronic Phonology of Diphthong-final Stem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중모음 어간의 공시 음운론 -반모음과 음운 현상의 적용 제약-

A Synchronic Phonology of Diphthong-final Stem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