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약

연구분야 : A090400 인문학 > 언어학 > 형태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62

STNet ID : 1002771

한자 : 縮約
영어 : Contraction
기타 : 음운 축약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현상 () [ 音韻現狀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절 축약 () [ 音節縮約 ]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자음 축약 () [ 子音縮約 ]

R1:개념적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연음화 [ 連音化 ]

고등학교 국어 검정 교과서의 ‘음운 규칙’ 관련 기술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descriptions of "phonological rule" in the Government-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High School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중모음의 운율구조와 음장

The Prosodic Structure of Diphthongs and Moraic Length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중모음의 운율구조와 음장

The Prosodic Structure of Diphthongs and Moraic Length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방각본 『수호지(水滸誌)』의 판본과 성격에 대한 연구

坊刻本『水滸誌』的板本和性格 硏究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방각본 『수호지(水滸誌)』의 판본과 성격에 대한 연구

坊刻本『水滸誌』的板本和性格 硏究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학교 문법의 ‘음운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Phonemic Alternation of School Grammar

언어학 연구 | 17 | 2010 | 기타언어학

학교 문법의 ‘음운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n Phonemic Alternation of School Grammar

언어학 연구 | | 17 | 2010 | 기타언어학

‘하야[爲]’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Diachronic Change of ‘하야(haya)’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영문학교육과 축약•축역본의 위상

The Pdagogical Efficacy of the Abridged Version in English Literature Study

영어어문교육 | 16 | 1 | 2010 | 영어와문학

영문학교육과 축약•축역본의 위상

The Pdagogical Efficacy of the Abridged Version in English Literature Study

영어어문교육 | 16 | 1 | 2010 | 영어와문학

소설 읽기 교육의 줄거리 제시 방안 연구 -질적 축약을 통한 텍스트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esenting Method of Story in Novel Reading Education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돼-’ 표기의 역사적 해석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rthography of ‘돼’.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돼-’ 표기의 역사적 해석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rthography of ‘돼’.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 러시아어 복합어에 대한 고찰

Типологический анализ сложных имён существительных в современнном русском языке

슬라브어 연구 | 16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