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모음화

연구분야 : A1101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음운론(국어학)

클래스 : 상태/상황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9411

한자 : 單母音化
영어 : monophthongization

c03-01 상태/상황

원인_t

장모음이 장음성을 잃음

결과_t

장모음이 단모음으로 바뀜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현상 () [ 音韻現狀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모음 () [ 單母音 ]

학령전 아동의 발음 오류에 관한 연구-음운 변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honological Process of Korean Preschool Children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령전 아동의 발음 오류에 관한 연구-음운 변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honological Process of Korean Preschool Children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語譯」의 모음 표기 고찰

A study of the transcription of vowels in the Jo-seon-eo-yeok.

한국어학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語譯」의 모음 표기 고찰

A study of the transcription of vowels in the Jo-seon-eo-yeok.

한국어학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에블라어’와 성서 히브리어

Eblaite and Biblical Hebrew

신학논단 | 65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상향이중모음 단모음화와 어간 활용형 축약의 원인

A Cause on the Monophthongization of the Rising Diphthong and the Coalescence of the Conjugational Forms.

언어과학연구 | 62 | 2012 | 언어학

국어 하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원인 재고

A Cause on the monophthongization of the Falling diphthong in Kore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