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모음

연구분야 : A1101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음운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57

한자 : 單母音
영어 : monophthong
동의어(UF) : 단순 모음(單純母音)
동의어(UF) : 홑홀소리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모음 () [ 母音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4 표준/규격 표준/규격

모라 [mora]

isAppliedTo (적용 대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c03-01 상태/상황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단모음화 [ 單母音化 ]

평안 방언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평양 지역어의 모음을 중심으로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n the Pyeong’an Dialect: Focusing on the Vowels of the Pyeong’yang subdialect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평안 방언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평양 지역어의 모음을 중심으로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n the Pyeong’an Dialect: Focusing on the Vowels of the Pyeong’yang subdialect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반 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이 산출한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Formant Frequency of Vowels Produced by Cochlear Implanted and Normal-Hearing Children.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반 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이 산출한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Formant Frequency of Vowels Produced by Cochlear Implanted and Normal-Hearing Children.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무순지역 한국어 단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An Acoustic Study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 of the Korean language Monophthong in the musun Dialect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재의 발음기호 제시 방법 고찰 —기초 단계에서의 자모 ‘ㅟ, ㅚ, ㅢ’ 발음기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ggestion for the Phonetic Symbols of Korean Alphabets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