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음화

연구분야 : A11010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음성학(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1985

한자 : 硬音化
동의어(UF) : 경음화현상(硬音化現象)
동의어(UF) : 된소리되기
영어 : Glottalization
영어 : tensification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현상 () [ 音韻現狀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c03-01 상태/상황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두경음화 () [ 語頭硬音化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경음 () [ 硬音 ]

hasPhenomenon (현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 [ 强化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평음 () [ 平音 ]

국어 온도 표현 어휘의 발달에 대하여

A Historical Study of Korean Temperature Words

한국문화 | 57 | 2012 | 기타인문학

‘즈음’과 ‘쯤’의 관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relations between ‘즈음’ and ‘쯤’

國語學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즈음’과 ‘쯤’의 관계에 대한 통시적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relations between ‘즈음’ and ‘쯤’

國語學 | | 58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A Study on the Phenomena of ‘Saitsori’ and the Writing of ‘Sai ㅅ’

한글 | 293 | 2011 | 한국어와문학

유성 자음 뒤 경음화의 특성 및 원인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a Characteristics and Cause of Glottalization after Voiced Consonants

동아인문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현대국어의 어중 경음화 약화 현상

A Study on the Weakening Phenomenon of Word-mid Glottalization Reflected in Modern Korean

한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경음화의 발생: 비어두 무성무기음의 음소적 인식

Tensification: the phonemic perception of word-medial unvoiced/unaspirated obstruents

國語學 | 6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