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음

연구분야 : A1101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음운론(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385

한자 : 硬音
동의어(UF) : 농음(濃音)
동의어(UF) : 된소리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경음화 () [ 硬音化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대립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평음 () [ 平音 ]

현대국어의 어중 경음화 약화 현상

A Study on the Weakening Phenomenon of Word-mid Glottalization Reflected in Modern Korean

한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탈리아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 방안

A Teaching Method of Korean Pronunciation for Italian Native Speakers

언어학 연구 | 21 | 2011 | 기타언어학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

Speech perception of Korean plain, aspirated,and tense considering pitch of the following vowel

우리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

Speech perception of Korean plain, aspirated,and tense considering pitch of the following vowel

우리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효과’의 발음에 대하여

A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hyokwa’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中世語 ‘ㅆ, ㆅ’에 대한 考察

A Study of the ‘ㅆ, ㆅ’ in Middle Korean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中世語 ‘ㅆ, ㆅ’에 대한 考察

A Study of the ‘ㅆ, ㆅ’ in Middle Korean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