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규칙

연구분야 : A090300 인문학 > 언어학 > 음운론(언어학)

클래스 : 기준/규칙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94

STNet ID : 1000701

한자 : 音韻規則

e02-03 기준/규칙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e02-03 기준/규칙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 () [ 文法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도치 [ 倒置 ]

N2:부분

NT (하위어)

 

 

약화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현상 () [ 音韻現狀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음운 교육 () [ 音韻敎育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 音韻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기저형 [ 基底形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e02-05 인프라/구조/범위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음운 체계 [ 音韻體系 ]

중세한국어 곡용어미의 형태론과 음운론

The Morphology and Phonology of Conjugation Endings in Middle Korean

진단학보 | 115 | 2012 | 역사학

낱말읽기에서의 초등학생 음운해독력 발달

The Decoding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in Word Reading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6 | 2 | 2011 | 교육학

고등학교 국어 검정 교과서의 ‘음운 규칙’ 관련 기술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descriptions of "phonological rule" in the Government-authorized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High School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Consonantal Devoicing and Assimilations/ Dissimilations Phenomena in Chukchee

축치어 자음의 무성음화와 동화/이화 현상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1 | 2011 | 러시아

Phonological Structure and Vowel Harmony in Chukchee

축치어의 음성학적 구조와 모음조화현상

한국 시베리아연구 | 14 | 1 | 2010 | 러시아

Phonological Structure and Vowel Harmony in Chukchee

축치어의 음성학적 구조와 모음조화현상

한국 시베리아연구 | 14 | 1 | 2010 | 러시아

활용에서의 유음 탈락ㆍ유음화의 선택적 적용

On the selective application of liquid deletion and lateralization in conjugation of Korean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활용에서의 유음 탈락ㆍ유음화의 선택적 적용

On the selective application of liquid deletion and lateralization in conjugation of Korean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음운론 교육의 몇 문제

A few problem on phonologic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새국어교육 | 91 | 2012 | 국어교육

낱말 친숙도 및 음운규칙 적용 유무에 따른 학령기 읽기장애 아동의 받침철자 인식 및 쓰기 특성

Spelling Ability of the Final Consonants in Children withReading Disabilitie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6 | 2 | 2011 | 교육학

읽기부진아동의 해독특성

The Decoding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6 | 4 | 2011 | 교육학